나는 정상인가 - 평균에 대한 집착이 낳은 오류와 차별들
사라 채니 지음, 이혜경 옮김 / 와이즈베리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복잡하고 다사다난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며 '정상'적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가?

라는 생각을 해 보기 전 '정상'이라고 하는 것의 기준부터가 막연하다.

과연 우리가 정상이라고 규정짓는 것들은 얼마나 합리적인 것인가? 정상은 일반적으로 평균과 이상이라는 개념에서 시작했다고 저자는 말한다. 정상이라는 말 자체가 허구적인 관념인 탓에 정상성이라는 것 자체가 처음부터 결론 내리기 불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우리가 상식이라 생각하는 것들을 우리는 정상이라는 범주로 기준하는 것 같다.

그런 막연한 개념 '정상'의 범주에서 이 책은 정상성에 대한 개념 분석부터 신체, 마음, 성생활, 감정, 아이들(자녀), 사회를 정상이라는 필터를 통해 들여다본다.

일반적으로 정상적 상태란 다른 사람과 비슷해 보이고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라고 여겨져왔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맞추는 것이 반드시 최선은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는 종종 일상에서 경험한다.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집단에 어울리는 사람이 된다는 것, 이 책을 읽으며 필터링 되는 주제들은 우리 삶 속의 극히 일부분이라 책 속 주제가 아니라도 한번 돌아보는 계기로 삼는다.

인상적인 에피소드 중 '전형적인 여성'의 기준으로 의사와 조각가가 1942년에 만든 조각인 노르만과 노르마의 가장 근접한 신체 사이즈를 가진 사람을 선발하는 대회에 4천여 명의

여성이 대회에 참가했지만 정확히 일치하는 사람이 없었음에도 표준적인 여성의 아름다움과 관련된 이상형들을 논하는 기준은 여전히 지속된다.

책 속에서 미의 기준을 이야기하는 대목에서 한국을 다룬 부분이 눈에 띈다. 한국에서는 젊은 여성들이 얼굴을 이상적인 흰색으로 만들기 위해 미백에 집착하면서 미백크림과 성형수술이 대형 산업으로 성장했다고 소개한다. 이 부분 또한 모두가 아닌 일부의

사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보니 진위 여부를 논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사례다.

지난날 많은 역사가들이나 학자들은 대부분(모두) 남성이었고 그렇다 보니 편향적인 이론들이 여전히 이어져 오는 것 중 하나. '히스테리'는 정신적 딜레마를 표현하는 말인데 오래전 그 어원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전형적 여성 질병으로 분류된다. 히스테리라는 말 자체가자궁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용어 자체가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성이 병의 원인임을 강조한 사례다.

20세기로 접어들며 양육이 사회적 의제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아동 돌봄은 더 이상 본능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 학습해야 할 기술이 있다. 부모의 불안정한 유전적 특질이 자녀에게 갈지도 모른다는 우려 대신 자녀 발달 단계마다 자녀에게 도움이 될 만한 여러 시도들을하는 과정에는 자녀들의 삶을 정상의 범주로 넣아주고자 하는 노력들이 때로는 눈물겹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