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하는 뇌 - 인간이 음악과 함께 진화해온 방식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김성훈 옮김 / 와이즈베리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음악과 함께 진화해 온 방식_ 노래하는 뇌>

 

<석세스 에이징>이라는 책으로 노화를 신경과학, 심리학, 뇌과학등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해

공감을 주었던 저자의 새로운 책이 반가웠다. 인지심리학자이자 신경과학자인 저자는 음악

지각과 인지에 대한 전문지식을 연구하는 연구소를 운영하며 이미 많은 책들을 집필해 왔던

전문가로 그의 책들은 이 분야들에 대해 계속 업그레이드해가는 과정을 책으로 발표하고 있

다는 점이 흥미진진하다. 특히 이번 책에서는 인간이 음악과 함께 진화해 온 방식을 분석해

인류에게 노래가 시작된 기원부터 우정, 기쁨, 위로, 지식. 종교, 사랑 등 주제별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이미 인류는 오래전 부터 노동요를 비롯해 삶에서 노래를 빼놓고는 이야기를 할 수 없을만큼

본능적으로 노래를 즐겨왔다. 저자는 인류의 역사상 음악이 없는 문화는 없었다고 단언한다.

음악과 인류의 공통 역사를 이해하는데 음악만큼 즐겁고 쉽게 접근하는 채널이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다보니 우리가 낯선 문화들을 마주할 때 음악은 가장 친근하게 다가오는 장르다.

학창시절에 제2외국어로 불어를 배울때도 선생님은 샹송을 들려주셨고, 아이를 키우며

외국어를 가르칠 때도 노래를 통해 접근하는 방식을 종종 활용하곤 했다. 그만큼 노래가 가

진 힘은 일상에서 다방면에 활용이 되곤한다. 요즘은 음악치료라는 의학분야에도 노래가

사용이 될 정도니 찾아보면 꽤 많은 사례들을 찾는게 어렵지 않다.

 


 

인류의 역사를 통해 예술을 창조하려는 욕구는 본능처럼 강력해서 크나큰 역경속에서도

예술을 할 방법을 찾아내 시를 쓰고, 노래를 만들고, 그림을 그리는 일을 지속해 왔다.

인류 문명의 여명기에 예술은 생존을 위한 투쟁에 꼭 필요한 능력을 날카롭게 다듬어주는

생존의 열쇠가 되어왔다. 일반적인 말과 글을 비교할 때 시와 가사가 가진 특징은 의미가

밀도있게 압축되어 평소보다 언어를 느리게 사용하게 된다고 한다. 시를 쓰는 목적도 기계

적인 기술이 아닌 사건에 대한 느낌과 주관적 해석을 포착하는 것이다.

저명한 시 비평가는 "시는 성명서 같은 것이 아니라 사색을 위한 가상의 장소다."라는 말로

정의 내리기도 했다. 그런면에서 시와 노래는 그렇게 닮아있다.

 


 

우리는 태어나면서 부터 어쩌면 뱃속에 있을때부터도 일상에서 많은 부분을 음악과 함께해

왔고 음악이 인간의 기분과 뇌의 작용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무의식중에 종종 잊곤

한다. 많은 부분에서 음악이 더해지는 순간 에너지의 원동력이 되는 경우가 얼마나 많았던

가를 이 책을 읽으며 새삼 깨닫게 된다. 자장가를 부르고, 세레나데를 부르고, 노동요를

부르는 순간 이미 인간의 본능적인 에너지가 뇌에 작동하여 좋은 기운을 발산하게 되는

신기한 경험들을 떠올려 본다.

아직도 문자가 없는 전 세계 많은 문화권에서는 기억의 노래와 셈의 노래가 여전히 일상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있다고 한다. 아프리카의 북음악부터 다양한 세계 각국의 노래의 기원

을 따라가다보면 가사가 있든 없든 사람이 만드는 모든 음악은 노래가 되며, 멜로디는 언어

와 상관없이 소통의 장벽이 가장 낮은 하나의 확실한 언어가 된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