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 (출간 15주년 기념 백일홍 에디션) - 박완서 산문집
박완서 지음 / 열림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완서 산문집 <호미> 출간 15주년 기념 백일홍 에디션이 출간되었다. 꽃을 피우고 오래 피어있다는 의미가 담겨있고, 꽃말은 '인연'을 뜻한다.

어릴 때 아빠 책꽂이에서 눈에 띄었던 책 제목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라는 책 제목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았는데 지금은 최신 개정판으로 내 책꽂이에 자리한다.

지난해 박수근 화가의 <봄을 기다리는 나목>전시교육을 진행하며 개인적으로 내게 더 특별한 인연의 작가가 되었다. 다소 늦은 나이에 등단을 하게 되었던 작품 속 인연의 주인공 또한

작가의 시선을 느끼게 해 주는 대목이다.



동시대의 스펙터클한 장르와 미려한 젊은 작가의 문장을 마주하다가 연배가 있는 작가들의 글을 읽으며 느끼는 감동은 분명 온도차가 있다. 세월과 경륜의 흔적에 대한 공감대가 높아지는 나도 또한 이제는 옛날 사람의 연배가 되어가고 있으니까 그럴 테지만. 나이가 드는 것은 그런 자연의 섭리를 알아가고 그것에 순응해가는 과정임을 알아가는 것.


아무리 4월에 눈보라가 쳐도 봄이 안 올 거라고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

변덕도 자연의 일부일 뿐, 원칙을 깨는 법은 없다.

자연의 질서를 긍정하고, 거기 순응하는 행복감에는 그런 불안감이 없다.

<p22 박완서_호미 >


4개의 단락으로 작가의 감회는 정원을 가꾸듯 일상을 다독이며 살아가는 소소한 행복을,삶을 살아내게 했던 희망을 잃지 않았던 태도를, 느지막이 갖게 된 종교에 대한 감회를,

소중한 딸에게 남기는 엄마의 진심 어린 기도 같은 글들을 담고 있다. 나도 딸을 키우는 엄마가 되고 보니 작가의 소회 가운데 출가한 딸이 '몸과 신경을 쪼개어' 살아가야 하는 삶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걱정하는 그 한 문장만으로도 찡해진다.

그 느낌을 너무나도 잘 아니까. 이런 문장을 읽으며 나 또한 위로를 받는 느낌이 들었다. 누구나 가장 치유가 되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경우가 바로 이렇게 누군가 마음을 알아주는 순간일 것이다. 그래서 문학의 역할, 문장의 역할이 커지는 순간이다.



어릴 때는 막연하게 어른이 되면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완전해지는 과정이라고 생각했던 순간이 있었다. 그런데 살아보니 삶은 스스로의 한계를 깨닫고 인정하는 과정이라는 생각에 종종 마음이 상한다. 얼마 전 아빠가 잘 키워낸 지인의 아이들 얘기를 하셨는데 나는 무척 마음이 무거웠다. 이제는 노년의 부모님에게 자랑하고픈 훌륭한 어른이 못된 것 같았던 자괴감이었겠으나 지금도 여전히 내 삶은 진행 중이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그래도 돌아보면

후회가 덜 한 삶으로 남고 싶다는 생각은 끊임없이 하곤 한다.

호미로 땅을 일구는 일은 고된 노동이 아니라, 다독임에 가까운 일이라고 생각이 든다. 삶을 대하는 태도 또한 그렇게 자연스럽게 때로는 박차를 가하고,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태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며 마지막 장을 덮었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