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들 - 모마 미술관 도슨트북
SUN 도슨트 지음 / 나무의마음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 미술관 여행 늘 마음으로 꿈꾸고 있는데 이렇게 책으로 떠나는 미술관도 늘 즐거운 테마다.

20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모마의 작품들 중 책 속에서 만날수 있는 작가는 16명.

현지에서 1,700여 차례 그림 해설을 했다고 하는 도슨트의 시선을 따라 바다 건너 모마로 나설 준비를 한다.


실제로 해외의 미술관에 가면 방대한 규모에 일단 멘붕이 오기 일쑤다. 주어진 시간은 너무나도 뻔한데

보고 싶은 작품들은 하염없이 많은 공간.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간과 분위기에 젖어 작품들과 마주하는 행복했던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떠오른다. 




작품 속 공간이 여전히 존재하는 고흐의 작품 속 공간 야외 테라스에 앉아 작품의 일부가 되어보는 그날을 꿈꾼다. 그렇게 많이 봐도 여전히 설레는 장면.


화가들의 작품에 대한  설명이 작품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시선을 넓힌다. 너무나도 잘 알려진 모네의 <수련>에 담아낸 세 가지의 요소들. 미술사의 중요한 인상주의는 폄하와 조롱에서 출발하였다.

생각해보면 처음부터 공감과 환대를 장착하고 시작된 위대한 일이 있었던가?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일상의 태도를 이렇게 또 되뇐다. 예술을 대하는 태도와 일상을 마주하는 자세가 그리 다르지 않다. 


곧 오픈하게 되는 이건희 컬렉션의 모네의 작품 <수련이 있는 연못>

거장의 작품을 실물로 마주한다는 설렘에 벌써부터 들뜬다. 거대한 수련의 방에서 마주하고 싶었던 작가이지만, 이렇게 마주하는 날이 오는구나.


아유와 혹평으로 시작되었지만 모네는 인상주의 작업에서 마침내 눈이 뜨이고, 자연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세상을 보는 방식을 조금 바꾸면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다는 진리를 깨닫는다.

그림 한 점이 주는 사색이 소중해지는 순간.


마티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로 '단순함'을 꼽았다.

어렵고 난해함이 아니라 우리는 종종 단순하고 심플함에서 더 많은 것들을 얻는다. 화가들의 작품은 작품성을 떠나 개개인의 감상에서 각자의 깨달음과 울림을 남긴다.


미술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이자, 화가들의 다양한 실험과 시도가 세대를 넘어 가치를 더해가는

또 하나의 이유일 것이다. 제한된 분량으로 더 많은 작가의 작품들이 소개되지 못한 것과, 너무나도 

익숙한 화가들의 이야기만 수록된 점이 개인적으로는 조금 아쉽지만 책 속으로 떠나는 미술관 여행은 여러 번 반복해도 지루하지 않다.


길고 긴 코로나의 끝이 언제일지 예측하기조차 어려운 현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은 올 거라

믿으며, 우리는 또 우리의 날들을 이어간다. 책속 모마의 작품들이 아니라 현지의 미술관에서 직접 작품들과 마주할 그날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