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는 인간에 대하여 - 라틴어 수업, 두 번째 시간
한동일 지음 / 흐름출판 / 2021년 9월
평점 :
절판


 

전작 <라틴어 수업> 두 번째 시간이라는 부제가 붙은 한동일 교수의 두 번째 책이다. 이 책은 한때

사제의 길을 걷기도 했던 그의 종교적인 이해가 더해져 종교에 관한 이야기가 종종 등장하지만 종교서

는 전혀 아니다. 이 책의 제목. 믿는 인간이라는 문장에 대해 우리는 무척 다양한 생각들을 떠올린다.

절대자라 생각하는 신이 될 수도 있고, 간혹 우리는 믿는 인간에 대해 늘 고민하고 갈등한다.

 


인간에게 종교란 저자의 말대로 특정 종교를 칭하지 않는다. 저자는 여러 사람이 하늘의 달을 카메라로

찍은 장면을 소환하여 달을 두 개라고 할 수 있는가?라고 질문한다.

꽤 오랜 세월 인간은 마음의 불안감이나 소망을 종교를 통해 기원하고 지향하는 구심점으로 삼았다.

많은 사람들의 공감은 결국 특정 종교로 발전하는 토대가 되었다.

사회가 복잡하고 변화해 갈수록 삶은 오히려 힘 빼기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근간에 읽었던 니체를 비롯해 많은 철학자들의 조언이 이 책의 "바라봄"에 대한 이론을 강화시킨다.

인류의 가장 큰 위협을 식량부족에서 비롯된 기근으로 꼽았던 인류에게 전염병은 전 지구적 삶의 변화

를 촉구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흑사병의 시대를 비롯해 코로나 같은 각종 전염병이 변화와

개혁의 필요성을 촉구한 결과였기도 하다.



사람을 가장 힘나게 하는 감정은 기대감이라고 한다. 미래에 대한 기다림과 설렘과 반대로 우울한

현실을 버텨나가게 하는 요소들을 인간 스스로 만드어가며 살아가는 것인가 싶기도 하다.

마주하기 싫은 것들을 버텨내기 위힌 삶의 여정과 일상의 진보는 짝을 이룬다.

저자는 인간 스스로가 자기를 합리화하고 싶어 하는 본성 때문에 자신의 삶의 한가운데서 스스로를

돌봐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그런가 하면 부모가 자식에게 물려주어야 하는 유산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우리는 종종 성공을 가리키

는 일은 수월하지만 실패의 시간의 버티고 살아갈 수 있는 건강한 태도와 정서를 가르치는 일에는

소극적이고 문외한이었다. 할 수 있는 것과 할수 없는 것을 챙겨보고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것을 바탕으

로 실패마저 시행착오의 순간으로 활용하는 배포가 필요한 요즘이다.

인류의 역사와 인간 사회는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제자리를 맴도는 것 같지만 아주 서서히 나선형 모양을

그리며 앞으로 나아간다. 그것을 인류의 진보라고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더딘 걸음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믿으며... 삶은 계속 이어지고 오늘은 내일의 본보기가 된다.

"삶은 계속 이어지고 오늘은 내일의 본보기가 된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