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중독이다 - 정신건강전문의가 알려주는 자기 혁명 다이어트
한창우 지음 / 미다스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다큐 프로그램에서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 자신이 비만이라고 생각한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보기에 오히려 말라 보이는 사람들도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날씬함에 대한 기준은

분명 거품이 있다. 비만은 미용의 관점에서 봐도 반갑지 않은 요소지만, 건강과 관련해서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다이어트는 어느 한순간에 필요한 게 아니라, 평생을 실천해야 하는 요소가 되었다.

식생활이 풍족해지고, 지금처럼 활동이 제한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주변의 환경요소들은 일상에서

방심하면 금방 비만을 장착하게 되는 환경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기에 더해 나이가 들어가니 벌써 몸에서 여러 가지 신호를 보내오며 다이어트가 필수가 되었다.

다이어트와 건강에 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며 인위적인 의료 행위나 약품을 통해 다이어트를 할 수

있다는 유혹이 많아진 것도 사실이다. 효과는 분명 빠르게 나타나겠지만 일상에서 실천하는 꾸준함을

통해 부작용이 없는 제대로 된 다이어트 습관에 대해 관심이 많았던 차에 정신건강 전문의가 제안하는

중독"이라는 분석과 임상의 결과들이 신빙성 있게 다가왔다. 

우리 일상에서는 중독이라는 단어가 무척 부정적이고 특정인에게만 해당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누구나 자신만의 중독성 있는 생활습관이 분명 여러 가지가 있음을 금방 깨닫게 된다.

알지만 막상 실천이 쉽지 않은 중독. 일단 인정하고 바로 행동으로 옮기는 것부터가 시작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중독은 완치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조절의 시작이다. 실천하는 과정에서 가장 지양해야 하는 것은

바로 "합리화"이며 바로 재발로 이어진다는 저자의 조언이 너무나도 공감이 된다.

어떤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하는 과정이 길어지면 당연히 유혹이 많아지고, 끝이 없이 이어지는 실천의

의지는 당연히 줄어들곤 하던 그간의 많은 장면들이 떠오른다. 역시 어떤 일이든 의지가 얼마나 꾸준히

행동력으로 이어지는지가 중요하다는 걸 새삼 더 느낀다.

행동의 향상성이 생기는 가장 짧은 기간은 100일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래서 종종 100일의 실천에

대한 계획을 세우곤 하는데 다이어트 식습관에 대한 계획도 꾸준한 계획과 실천의 반복을 통한 습관화

를 목표로 도전해보길 권한다.

전문의가 제안하는 쉬운 일상형 실천 가이드가 무척 체계적이고 어렵지 않아 무작정 행동으로 옮기기

보다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을 통한 장기간의 계획을 세우는 과정의 시작점으로 좋은 출발서였다.

책 속에는 식단과 12주 로드맵까지 수록하고 있어서 다이어트 워크북으로서 실용성 있는 책이다.

다이어트는 외모뿐 아니라 건강과 자기 효능감을 높여주어 건강한 일상의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임을 잊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