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 - 영화로 보는 인문학 여행
김태현 지음 / 리텍콘텐츠 / 2021년 6월
평점 :

인상 깊은 책속구절, 혹은 영화 속 대사들은 오랫동안 사람들이 입에 회자되며 시대를 이어간다.
오랫동안 관람했던 영화 포스터들을 모아 책으로 몇 권을 만들어 소장했던 시간들이 있었다.
어느 날 집안을 정리하다 자리만 차지하고 잘 봐지지 않아서 없애버렸는데 이 책을 보니 괜히 버렸다
후회가 된다. 그나마도 요즘은 코로나로 영화 포스터를 제작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책에는 200여 편의 영화 속 문장 1000개를 소개한다.
책 속에서 소개되는 영화들은 8개의 주제로 나뉜다. 꿈과 자유/ 사랑/ 인문학적 통찰을 다루는 영화/
심리/휴식 같은 힐링 영화 /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의 이야기/ 인간의 의지와 한계/ 상상력
다양한 주제의 영화들을 분류해 놓아서 영화 선택에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주로 극장에서 보는 영화를 선호하지만, 요즘은 집에서도 편안하게 영화를 볼 수 있는 시대이니 가끔
뭘 볼까 고민하는 경우 참고해도 좋겠다. 수록된 영화 중에는 내가 이미 봤던 영화들과 제목만으로도
익숙한 영화들이 제법 있다.
책 속에 소개된 대사들을 읽다 보니 한번 보고 싶어지는 영화들이 꽤 있었다.
아마도 영화의 명대사로 이보다 더 유명한 문장이나 영화가 있을까 싶을 만큼 <죽은 시인의 사회>속
명대사는 오랫동안 여러 장면들에서 회자되어 살아나고 살아나고 살아난다.
영화가 주는 힘. 그리고 영화 속 명장면이 주는 힘은 이토록 강렬하다.

문장들과 원어가 함께 표기가 되어있어서 원작의 느낌을 좀 더 실감 나게 재현할 수 있는 부분도 마음에
들었다. 나는 대부분의 경우 영화를 보기 전에 원작이 있으면 영화보다 먼저 보기를 선호하는데 간혹
영화가 너무 좋았어서 원어로 그 문장들을 마주하고 싶은 경우 원서를 사기도 한다.
책 속에 소개된 문장들은 대표 문장들이 소개되는 경우도 있고, 영화 속 대사가 소개된 것들도 있다.
영화에 관한 간단한 소개와 더불어 문장들을 읽어보고 궁금한 작품을 감상해보는 것도 좋겠다.
영화를 보지 않았어도 문장만으로도 와닿는 구절이 있다. 영화 속 문장처럼 세상에는 경험해 보지 않고설명만으로 충분히 알 수 없는 것들이 분명히 있지.
얼마나 많은 작품들에서 시간. 특히 "지금 현재"를 살아가라고 말하고 있는지
그럼에도 우리는 늘 막연한 미래에 대한, 혹은 이미 지나간 시간들에 대한 후회를 거듭하다 지금의
순간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과거는 추억 한편으로 미래는 지금의 현재를 잘 살아가다 그렇게 자연
스럽게 만나지는 것으로 하자.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지만, 모든 것이 영원하다면 그것도 슬플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시간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해가는 것은 아마도 그에 마땅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변하는 것이 어쩌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이다.
우리 모두는 자신의 삶 속 주인공이지. 내가 맡은 배역의 비중은 내가 사는 삶의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인생이 온통 주인공으로만 가득하다면 그것도 너무 피곤할 듯.
주인공도 되었다가 때로는 조력자가 되기도 하는 그런 삶. 영화 속에 모든 것이 있네.
책 속 영화 구절을 읽다 보니 어느새 영화 몇 편을 본 것 같다. 책 속에 담긴 많은 영화 대사들은 어쩌면
우리 인생의 문장들인지도 모르겠다. 아무 페이지나 펼쳐보아도 생각들이 스쳐 지나가는 그런 책이었다.
어느 고요한 날은 꼽아둔 영화도 한편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