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딸의 심리학 - 서운한 엄마, 지긋지긋한 딸의 숨겨진 이야기
클라우디아 하르만 지음, 장혜경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3월
평점 :
절판


근간에 읽은 두 권의 책은 공통적으로 엄마와 딸, 그리고 심리학에 대해 다룬다.

딸을 키우는 엄마로서, 부모님에게는 딸로서 이 책의 소개 글을 보는 순간 꼭 읽어보고 싶었다.

딸들은 엄마가 되고서야 엄마를 이해하기 시작한다고 시작하는 책.


우리는 자식을 세상 누구보다 사랑하고 자식이 잘 되기를 바라지만 동시에 자기 한계도 느낀다.

우리 문화가 만들어낸 모성애 관념은 딸과 엄마 모두를 영원히 그 역할에 묶어두려 한다. 그래서 딸과

엄마 모두 여성대 여성으로 같은 눈높이에서 보다 풍요롭게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빼앗는다.

그런 반면 미대륙에 사는 여러 원주민 부족은 엄마의 역할을 우리와는 다르게 본다.

"넌 자식이 필요로 할 때까지만 엄마야. 아이가 자라면 엄마의 의무에서 해방될 거야. 아이가 자라면

알아서 잘 살 테니 엄마 자식 관계도 끝나는 거야."

성별을 막론하고 부모 자식 관계에선 거리가 중요하다. 인간은 친밀감을 강조하면서도 또 한편 자립을

바란다. 마치 둘이서 손을 잡고 추는 춤과 같다. 멀어졌다 가까워졌다. 이것이 모든 관계의 리듬이다.


엄마도 나름 역사가 있는 한 사람이라고 인정하기 보다 우리는 엄마를 초인이 되도록 몰아가는 경우가

많다. 아이의 몸과 마음을 언제라도 가득 채워줘야 할 의무가 있는 초인이 되거나, 혹은 자식의 삶을

내 삶의 또 다른 부분이라 생각하는 오류가 가장 빈번하다. 많은 교육학과 심리학에서 부모상에 대한

정형화와 아동기의 심리학의 비중의 중요성을 강조하다 보면 더욱 그런 경향이 짙어진다.

애착 이론은 자녀에게 부모가 안전한 항구라는 개념을 안착시켰다. 신뢰가 있으면 아이는 세상을 마음

놓고 탐구할 수 있다. 애착 이론은 무조건적 보호가 아니라 일과되고 안정된 적재적소의 양육을 뜻한다.

어린아이는 안정감과 친밀감이 있어야 배우고 성장한다는 것에 대해 과도한 보호에 대한 강박을 갖을

필요는 없다는 점을 뜻한다.

책 속에서 소개하는 다양한 사례들과 내가 경험하고 자란 역할에 대한 공감을 통해 심리적인 다독임을

경험한다. 사람은 누구나 완벽할 수 없고 각자의 상황에 따라, 심리적인 상태에 따라 같은 상황에 대처

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 또한 트라우마에 빠지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스트레스는

마음을 딱딱하게 만들어 상실과 트라우마를 만들기도 한다. 정서적으로 깊이 생각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심리적인 애도를 경험하고 치유의 과정을 거친다.


이 책은 엄마와 딸의 오랜 관습에 얽힌 관계의 극복을 통해 의식을 바꾸어가길 제안한다. 평소에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사소한 습관과 생각의 고착이 관계의 이해를 통해 서로에게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

왜곡하지 않는 심리상태는 더 건강한 관계를 자연적으로 만들어낸다는 것을 알게 한다.

우리가 심리학 책을 읽는 이유 또한 고착된 심리적 소통의 길을 재정비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더 나은 관계는 서로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