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 10만원 그림 투자 재테크 - 주식보다 안전하고 부동산보다 수익 좋은
한혜미 지음 / 쌤앤파커스 / 2021년 3월
평점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직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아트 딜러가 소개하는 그림 투자 재테크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다룬 책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은행이율이 거의 제로에 가까운 수준으로 떨어지고
투자와 재테크에 대한 채널이 주식과 부동산에서 이제는 그림 투자라고 하는 분야로 확장되었다.
순수하게 그림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아트 컬렉터로 시작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책에서는 재테크로서의
그림을 선택하고, 시야를 넓히는 방향을 제시한다. 예술의 상업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공존하지만
어쨌든 예술가의 입장에서도 대중성은 작업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사실이다.
그림을 보는 눈은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는다. 꾸준히 관심을 갖고 전반적인 흐름들을 쫓아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책에서 소개하는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자신의 취향과 방향을 잡아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아트컬렉팅과 아트테크 중 책에서는 아트테크에 비중을 두고 설명한다.
순수하게 아트컬렉팅은 자신의 취향에 맞는 그림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아트테크의 경우 미래를 보는 안목 또한 중요하다. 이미 중견작가라고 하면 작품의 가격이 고가일 수
밖에 없고, 신진작가의 경우 작업의 지속성을 예측할 수 없으니 재테크의 목적에 위험한 선택일 수 있다.
반면에 내가 선택한 작가의 작품과 작업이 성장해 가는 모습을 보는 것은 또 하나의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고민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미술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볼 수 있는 채널들이 많아지고 있으니 관심을 갖고 꾸준히 흐름을
읽어가는 것도 중요하다. 책에서는 대표적인 사이트들을 제시하고 있어서 유용하다.
해외 아트 페어도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도 대표적인 아트 페어가 정기적으로 오프라인에서 열리고 있으니
한자리에서 다양한 작가의 작품들을 볼 수 있는 기회들을 꾸준히 경험하고, 기회가 된다면 해외의
아트 페어로 영역을 넓혀보는 것도 좋겠다.
저자는 현직 아트 딜러로서 국내 미술품 투자시장의 규모와 흐름, 방향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요즘 부상하고 있는 아트 투자의 방식은 아트펀드 형식으로 위탁업체를 통해 분할 구매를 하는 방식도
활성화되고 있는데 각자의 능력만큼 분할하여 구매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이다. 구매하면 직접 소유
하고 보관, 관리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투자에 비중을 둔 방식이라고 하겠다.
책 속에는 성향에 맞는 그림 투자방법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비롯해 시장에서 많이 언급되는 작가들,
미술 용어와 그림 투자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관련 도서 등을 수록하고 있다.
예술작품에 대한 호감은 소유욕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재테크와도 연결되는 과정을 큰 그림으로
그려놓은 이 책에서 그림 재테크에 대한 다양한 루트를 따라가다 보니 일단 시작해보고 싶은 욕심이
부쩍 생기는 것도 사실이다. 근간에는 다양한 아트페어들에서 저렴하게 작가의 작품을 구매하고,
수익금을 좋은 의미로 활용하는 기획들도 꽤 많아졌다. 책에서 소개하는 다양한 루트들을 통해
일단 그림을 보는 안목들을 넓혀가며 오프라인의 작품들을 꾸준히 접해보는 과정에서 어떤 첫발을
내 딪을지 결정하는 것도 좋겠다. 책의 말미에는 현직 아트 딜러인 작가가 소개하는 신진작가 7인의
리스트와 이력 등을 수록하고 있다. 마침 얼마 전 있었던 화랑미술제에서 첫 번째로 눈에 들어왔던
감성빈작가도 포함되어있어서 반가웠다. 역시 좋은 작품은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또 한번 실감하는 순간이었다. 액자부터 조각, 회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를 고루 소화했던
문신 작가를 떠올리게 했던 작가의 작품들을 이렇게 다시 조우한다.
예술품이 한 사람의 안목을 반영하고 자산으로 인정되는 시대에 접어들면서 아트라이프도 다양화될
수밖에 없는 시대가 되었다. 순수하게 그림 애호가로 남는 것도 좋지만 다양한 루트의 흐름들을 알아가
는 것도 필요하다. 진화해가는 미술시장의 영역에서 제대로 알고 관람과 투자의 균형을 맞춰가는 것도
현명한 아트 사용법이 아닐까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다. 소극적인 관람자의 시점에서 적극적인 참여자의
시점으로 다가가게 해 주는 책이 아닐까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