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휴먼카인드 -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뤼트허르 브레흐만 지음, 조현욱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3월
평점 :
품절

500페이지가 훌쩍 넘어가는 두께만큼이나 책 무게 또한 만만치 않아서 이 책은 자리를 잡고 앉아서 읽어
야 할 책이다. 다루고 있는 주제 또한 인간 본성의 선한 자아를 과학적으로 냉철하게 분석하고 있는
저자 뤼트허르 브레흐만은 현재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로 꼽힌다.
그는 이 책에서 연대와 협력을 통해 진화해온 인간의 본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인류 보편의 속성에서 출발해 자연생태의 인간, 아우슈비츠 이후, 선한 본성의 오작동, 새로운 현실 등
전쟁과 재난 등 위기의 순간 인간의 행동은 어떻게 반응하게 될지 잠재적인 인간 본연의 인식들을 일깨
우는 그의 도발적인 질문들은 지난 인류의 역사적 사실들을 통해 재조명하게 만든다.
종교와 이데올로기를 부인하고 과학적 영역에서 정당성을 인정받은 발상들을 도발적으로 제시하는 책.
재미있게도 뤼트허르 브레흐만은 생명의 진화에서 유전자가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다룬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이상한 제목의 책으로 언급했다. 읽기에 우울하고 자연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것이라고 기대하게 만드는 인간 본성에 대한 비관적 관점을 제시한 책으로 반론을
제시한다. 그는 인간 진화에 필요한 것은 많은 고통과 투쟁, 오랜 시간이라고 정의를 내린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로 등극한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이론으로 많은 사람들은 이기적인
존재로 태어난다고 결론지었으나 당시 무명의 구소련 유전학자는 '가장 우호적인 자의 생존'에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간은 연대와 상호작용을 갈망하는 존재로 고독은 인간을 병들게 할 수도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
지기도 했고, 실제로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의 후속판에서 인간의 천성이 이기적이라는
기존의 주장을 수정하기도 했고, 그로 인해 그 이론은 생물학자들 사이에서 신뢰를 잃었다.
그 외에도 인간이 본능적으로 혐오하는 것에 대해 '폭력'을 꼽는다. 정착지와 사유재산의 출현은
1퍼센트가 99퍼센트를 억압하기 시작했고, 달변가는 지휘관에서 장군으로, 그리고 족장에서 왕으로
군림하기 시작했다.
페이지 중반을 넘어가며 저자의 분석과 논리에 살짝 길을 잃었다;; 역시 쉽지 않은 이론과 분석이 이해
보다 혼란을 초래하는 긴급상황 발생 속. 그나마도 다행인 건 에필로그에 그가 제시한 삶에서 지켜야 할
열 가지 규칙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저자는 우리가 너무 많은 내적 성찰과 너무 적은 외적 성찰의
시대를 살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가 제시한 10가지 규칙은 의심이 드는 경우 최선을 상정할 것,
윈윈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생각할 것. 질문을 제기할 것, 공감이 아닌 연민을 훈련할 것. 다른 사람을
이해하려고 노력할 것, 스스로가 가진 것을 사랑할 것, 뉴스를 멀리할 것, 이 부분은 다소 의아했으나
뉴스가 제시하는 세상은 오히려 시각을 왜곡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한다. 종종 우리가 가짜 뉴스로
본질을 벗어나는 폐해를 저자도 지적하고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
선행을 베풀 것, 마지막으로 현실주의자가 될 것을 당부한다. 현실주의라는 표현이 현대에 냉소주의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데 스스로의 본성에 충실하고 타인에게 선을 행하고 관대한 자세로 신뢰를 보여
줄 것을 제안한다.
선행과 친절은 전염성이 매우 커서 멀리서 보기만 해도 많은 이들에게 전염이 된다고 한다.
실제로 미담사례를 통해 도미노처럼 뻗어가는 현상들이 종종 일어나곤 하는데 결국 저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은 다양한 이야기와 사례들을 통해 인류에게 새로운 시선을 가지고 세상을 보고 행동할
것을 도발적인 자세로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