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에서 더 배우고 성장한다 - 스트레스를 스트렝스로 바꾸는 방법 아우름 47
이서원 지음 / 샘터사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꾸준히 샘터에서 출간되고 있는 아우름 시리즈는 인문교양 분야의 다양한 주제의 글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두껍지 않은 분량으로 꽤 심도 있게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어서 매번 다른 느낌의 인사이트를 경험하게 된다. 이번에 소개된 책은 익숙한 저자의

새책이라 개인적으로 더 반가웠다.

지난해 출간된 공동 저서 <마음대로 안 되는 게 인생이라면>에서 50년간 정신과 의사로 많은

이들을 진료했던 이근후 교수와의 문답 형식으로 풀어냈던 인생 문답으로 한번 마주했던

경험이 있던 터였다.


 

이번에 출간된 책에서는 삶에서 피할 수 없는 다양한 스트레스의 상황들에 대한 현명한 대처법을

제시하고 있다. 세상에 태어난 존재들은 누구나 스트레스의 상황에서 예외가 없기 마련이지만

똑같은 상황에서도 누군가는 긍정의 열쇠로 전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저자는 책에서

<Accept-Choose-Encourage> 세 단계로 스트레스 대처법을 제안하고 있다. 
무조건 스트레스의 현실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본질을 직시

하며 왜곡되지 않게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부정적인

상황에 대해 회피하고 싶은 마음이 먼저 들기 쉽지만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너무 잘 알고 있다.

두 번째 단계로 현실을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줄이는 최대한의 방법들을 모색하고, 마지막 단계는

스스로 격려하는 긍정적인 마음을 갖는 것이다.

스트레스 Stress는 토목학에서 나온 개념이라고 한다. 다리 위를 건너는 화물트럭이 다리를

누르는 힘을 견디지 못하면 다리는 무너지게 될 수밖에 없다. 다리가 견디는 힘이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는데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호르몬 시스템을 혼란에 빠뜨려 신체적인

부작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런데 신기한 건 신체활동으로 바이오리듬이 상당히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저자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관계의 상황들에 대해 조언한다.

생각보다 일상에서 마인드컨트롤과 가벼운 신체활동 만으로도 상당수 호전되는 결과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 격려의 긍정 마인드를 실천하는 일이다. 지나간 과거의 아쉬움 들을 반복적으로

되새기는 일은 스스로에게도 도움이 되지 못한다.  누구나 미래에 대한 희망이 삶의 살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지만 지나친 기대감은 오히려 삶의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실제로 과도한 의욕으로 인해 피로가 쌓이다 보면 번아웃이 오기도 하는 사례들을 떠올려보면

스스로의 패턴을 파악하여 몸과 마음의 균형을 유지하는 습관이 가장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삶은 장거리 마라톤이라고 할 수 있다. 빠르게 결승선에 도착하기 위한 욕심을 내기보다

저자가 인생의 숨구멍이라고 표현한 장치가 각자에게 필요하다. 인생의 좋은 일과 나쁜 일은

공존하기 마련이지만 어느 쪽에 비중을 두고 살 것인지를 결정하는것은 본인 스스로이다.

스트레스를 스트렝스로 바꿀 수 있는 것도 결국은 자신의 마음먹기에 따라

스스로가 만들어가는 것이다. 어떤 삶을 살 것인가 하는 해답은 생각보다 멀리 있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