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에게 배우는 네 글자
이선 지음 / 궁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물에게 배우는 네 글자>를 올해 마지막 읽은 책으로 읽으며 참 탁월하다는 생각을 했다.

식물의 기원은 무려 4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인류의 시작은 200만 년 전에 불과하다는 사실만으

로도 우리 조상들이 경외했던 자연에 대한 이유가 충분하다. 인류의 조상들은 그런 자연에 압도 당하지

도 않았고, 자연과 가까이 지냈으나 섣불리 해하지도 않았다는 사실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최근에 인류는 코로나라는 희대의 전염병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인류 문명의 발전은 생활의 편리함을

안겨줬으나 그만큼의 부작용이 늘 경고되어왔었다. 코로나라는 바이러스 또한 자연의 균형이 깨어지며

일어난 비극이라는 설이 있을 만큼 인간과 자연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식물연구에 해박한 지식을 가진 전문가인 저자는 식물의 생태를 빌어 인간의 삶과 자연의 관계를

다양한 관점에서 들려준다. 네 글자의 사자성어나 속담을 통해 들여다본 식물의 세계는 놀랍도록

인간의 삶과 닮아있음을 실감하게 되는 시간이었다. 로마시대로부터 출발한 아이가 태어나면 나무를

심고, 그 생장을 보며 아이의 미래를 점치기도 했다는 사실과 많은 성현들의 삶에서도 자연을 존중하며

살아왔던 생활태도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공자의 가르침에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 있고, 1년의 계획은 봄에 있으며,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있다는

가르침과 뿌리가 튼튼해야 가지가 무성하다는 <근고지영>같은 사자성어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본다.

현대사회는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토종 생태계라는 단어 또한 무색한 시대가 되었다.

그런 와중에 한창 우리나라에서 인기를 끌었던 핑크뮬리라는 식물이 요즘은 유해한 식물종으로 분류가

되며 다시 한번 화제가 되기도 했다. 토종 생태계만큼이나 중요한 공존공생의 관계를 돌아보고,

각자도생, 혹은 적자생존의 다양한 사례들을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서 살펴보는 과정에서 많은 깨달음이

느껴진다. 사람도 그렇지만 나무와 꽃의 고고한 운치와 품격도 주변이나 집의 품격에 걸맞아야 한다는

것. 적지 적소에 적당하게 어우러지는 것이 자연에서도 인간세계에서도 중요하다는 사실.

누울 자리를 보고 가지를 뻗는 나무들의 생장이 빚어내는 한 폭의 그림 같은 장면들.

책 속에 실린 풍성한 자료들과 사진을 보며 많은 정보를 얻기도 했지만 그 자체만으로도 자연 속으로

순간이동하는 힐링의 시간이 되기도 했다.

삶이 고되다고 하지만 우리는 종종 도심 한복판의 아스팔트 위에서도 식물의 생장 순간을 목격하기도

한다. 산 정상위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소나무는 많은 이들에게 그 자체가 하나의 울림이 되기도 한다.

사람의 삶이나, 식물의 삶이나 쉬운 것이 있겠냐만, 삶은 그 와중에도 이어진다.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는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날씨가 추워진 뒤에 그 푸르름이 더욱 두드러지는

소나무. 추사 김정희는 말년에 고독한 삶을 보냈지만 제자인 이상적의 옛 스승에 대한 고마움을

세한도의 발문과 그림 오른쪽에 찍은 붉은 인장으로 그 마음을 절절하게 담았다.

<장무상망>이라는 글자에는 그 마음을 오래도록 잊지 않겠다는, 스승의 진심 어린 감사가 담겼음을

알고 나니 마음 한편이 참으로 따뜻하고 먹먹해진다.


사람의 얼굴에서도 식물의 생장에서도 그 삶의 흔적들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신기하게도 생명을 가진 생명체는 스스로 치유하며 살아가게 된다고 하는데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흔적이 어딘가에는 남아있게 마련이다. 그래서 인간의 트라우마가 생기고, 식물은 그 상처를 남기기도

한다. 나무의 송진을 제거한 흔적이 오랜 시간 상처처럼 남아있는 모습의 자료 사진을 보니 그 모습이

생생하게 와닿는다. 신기한 삶의 흔적들을 보듬으며 살아가는 식물과 인간의 삶

어쩐지 숙연해지는 순간이다.


저자는 책 속에서 식물의 생장을 통해 식물과 인간의 관계를 중첩해서 보여준다. 사자성어를 통해 간결

하고 예리하게 소개하는 과정에서 식물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한편의 인생 드라마를 한발 떨어져서

묵도한 느낌이 들었다. 어쩌면 기고만장하다고 할 만큼 인간의 과학기술이 첨단으로 발전하는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올 한 해는 또 다른 전환점이 되는 시간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을 했다.

너무 익숙해서 소중함을 몰랐던 일상과 마찬가지로 자연은 늘 우리 곁에 있지만, 정복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라 잘 보존하고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존재임을 다시 한번 깨닫는 시간이었다.

식물에 관한 정보만큼이나 마음 챙김이라는 키워드가 공존했던 소리 없이 강한 한 권의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