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문지아이들 163
김려령 지음, 최민호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영화화된 두 작품으로 많은 이들에게 각인되었던 작가 김려령.

그녀의 신작이라기에 오랜만에 반갑게 창작동화 한편을 펼쳐들었다.

아쉽게도 가제본 도서가 축약본이라 후반부까지 읽지는 못했지만 두 소년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삶의

장면들을 통해서 역시 김려령 다운 진솔한 삶의 단면들이 드러난다.

책 제목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책을 읽다 보니 참 절묘한 제목이다.

제목으로 마주한 느낌으로는 사춘기 청소년들의 방황기 때쯤 되려나 하는 상상을 했는데 반전의 의미를

담았다. 게다가 살짝 묵직해질 뻔한 부분에서 김려령 특유의 유머 코드도 빼놓지 않았다.

짧은 이야기 속에는 생각보다 묵직하고, 조금은 우울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와중에도 빛나는

아이들의 모습이 있다. 번화한 도심 한복판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비닐하우스 집성촌이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은 사실 낯선 장면이 아니다. 가까이 지내던 이들에게 베풀었던 선의는 늘 좋은 결과만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다 보니 착한 사람들이 손해를 보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원활하게 돌아가던 일상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하고, 그것을 시작으로 도미노처럼 일상 또한 무너지는

상황들, 착한 사람들이 복을 받는다는 원칙은 늘 적용되지 않는다.

착한 사람이 종종 사회적인 약자로 전락하는 상황들이 안타깝게도 책을 읽으며 떠올랐다.

책 속 문장 중 주위에 나쁜 사람만 없어도 반은 성공한 거라고 했었다는 엄마의 말을 상기하는 소년의

모습이 묘사된 부분에서는 더불어 사는 삶을 사는 과정에서도 관계에 대한 무한 신뢰를 하며 살기는

어렵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사람의 마음이란 게 참 간사해서 타인의 불행보다 행복에 대한 공감을 덜

하게 된다는 글을 본 적이 있다.

책 속 삽화로 보이는 소년의 가족 임시 거처 양지 화원.  지금은 어렵고 힘들지만 곧 음지에서 양지로

거듭나는 날들이 펼쳐질 거란 기대를 해본다.


책 제목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이 결코 '아무것도 못!! 하는 녀석들'이 아닌 세상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어렵고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세상의 소년들에게 마음속의 응원을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