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니멀 - 인간과 동물이 더불어 산다는 것
김현기 지음 / 포르체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MBC 창사특집 다큐멘터리로 제작되어 5회에 걸친 방송으로 반향을 일으켰던 인간과 동물의 더불어

사는 공존에 관한 <휴머니멀>이 책으로 출간되었다. 방송으로 보는 것과는 또 다르게 책을 통해 좀 더

숙고하는 시간이 되었다. 휴머니멀은 생존을 위한 냉엄한 투쟁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제작된 리얼리

티 프로그램으로 르포르타주 Reportage 프로그램이다.

르포르타주는 사회적인 현실에 대하여 보고자의 주관을 섞지 않고, 객관적으로 서술한 문학, 혹은 기록

문학으로 보통은 르포"라고 불리기도 한다.

살아있는 코끼리의 얼굴을 전기톱으로 베어 간 밀렵꾼, 가족이 무리 지어 사는 하마들을 총으로 사살하는

트로피 헌터, 돌고래에게 꼬챙이로 해를 가해 바닷물을 붉게 물들이는 어부, 가축을 지키기 위해 독을

사용해 사자를 몰살시키는 주민들, 인간의 욕망을 여러 가지 핑계들로 무장하여 태연하게 자행하고 있는

장면들이 그려진다.

아프리카 지역에서 공공연하게 돈을 지불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한다는 논리로 합리화하여 진행되는

포획이나 트로피 헌팅인 부호들의 유희라고 일컬어지는 제국주의 시대의 정복자 문화에 기반을 둔 자원

수탈의 결과이기도 하다.

고치를 찢고 나온 누에로 명주실을 뽑는 것도 간접 살생이라며 비단 가사를 입는 걸 금지했던 부처님을

사람들은 코끼리의 목숨과 맞바꾼 상아에 고이 새겨 넣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코끼리가 무척

온순한 동물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 코끼리는 천적이 없는 거대한 동물 중의 하나이다.

그런 코끼리가 서커스나 관광객을 태우는 용도로 활용되기까지에는 잔인한 사육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을 이 책을 보기 전에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아시아에서는 코끼리가  학대의 대상으로, 아프리카에서는 밀렵의 대상으로 인간과 공존하는 현장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사파리에서 공식적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헌터들이 내는 자본들은 상당수가 부패한 정부 관료의 주머니

로 들어가거나 헌팅 업체로 들어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 현실적인 것들은 베일에 가려져 트로피 헌팅

이 아프리카 지역사회에 기여한다는 주장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은 놀랍고 과히 충격적이다.

무관심하거나, 혹은 보는 관점에 따라 얼마나 다른 모습으로 다가오는지 생각해 볼 문제이다.


덴마크령의 페로제도의 그라인다 드롭 Grindadrap은 고래 집단 살육 문화를 뜻한다.

오랫동안 잔인한 집단 무의식은 그 뿌리가 생각보다 깊고, 거센 자기 보호 본능을 동반한다.

전통은 완고하지만 많은 이들의 노력이 있다면 아주 조금씩 바꿔나갈 수도 있다. 잘못된 전통은 변화를

필요로 하고,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


이토록 아름답게 보이는 장면의 현실을 매체를 통해 눈으로 확인하는 현실은 아비규환이 따로 없다.

인간 사회의 문화라는 명목으로 수백 년간 이어져 온 특정 동물에 대한 살육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실제로 생태계의 엄청난 속도로 진행되는 멸종에 대한 데이터들은 심각한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 수치이자 증거이다.

놀랍게도 일본에서 포획된 돌고래 수출 현황에서 우리나라는 수입국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처음 알았다. 한동안 동물원에서 오락적인 목적으로 돌고래쇼가 진행되었고, 나도 몇 번의 관람

을 했던 기억들을 떠올리며 마음 한편 이 뜨끔했다.

자연에서 자유롭게 많은 거리를 이동하는 돌고래의 수명이 인공적인 환경에서는 반 이상 줄어버리는

결과를 보여주기도 한다.


오래전 뉴스에서 곰을 사육하거나 포획하여 장기를 떼어내는 일들이 한창 이슈가 되었던 기억도 있다.

실제로 자연에서 사는 야생의 동물들은 임계 기 Critical period를 거치며 뇌 발달 시기를 거친다.

이 특정 시기에 뇌의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그 부분은 영원히 작동되지 않는다는 중요한 시간이다.

많은 야생의 동물들을 보호라는 명목하게 인간이 저지르는 실수들은 자연의 순환을 거스르고 문제점

들을 만들어 낼 수밖에 없다.

세상에서 이제 단 2마리만 남았다는 흰코뿔소, 네덜란드어로 넓은 코뿔소 'Wijd'가 영어로 'White'로

잘못 번역되며 흰코뿔소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하는데 이렇듯 자연은, 인간 문명의 발달 속도가 빨라진

것보다 훨씬 빠르게 멸종하고 소멸해 가고 있다.

아무리 인간 문명이 발달한다고 해도 자연에서 생활하는 야생의 동물들을 인간의 힘으로 조절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절대로 해서도 안되는 일이다.

공존을 향한 첫걸음은 그래서 바로 인간과 동물의 이해가 우선 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