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해주려는데 왜 자꾸 웃음이 나올까 - 남의 불행에 느끼는 은밀한 기쁨 샤덴프로이데
티파니 와트 스미스 지음, 이영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재미있는 심리학 책이 출간되었다. 다소 생소한 단어 "샤덴프로이데"라는 심리학 용어를 제시한다.

샤덴프로이데 Schadenfreude는 독일어로 "피해를 즐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성공보다 적의 실패에 더 많이 웃는 것, 혹은 기쁨이나 즐거움을 느끼는 감정을 뜻한다.

이 부분의 설명까지 읽고 뭔가 살짝 뜨끔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아마도 있다면 열반의 경지쯤 ^^)

오래전부터 인간들은 시대와 문화권에 상관없이 남들의 굴욕과 실패를 먹잇감 삼아 자신의 행복을

찾았다.  일상의 소소한 실수를 담은 동영상 쇼가 인기를 끌거나, 슬랩스틱에 사람들이 열광하는 것이

바로 그런 사례 중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샤덴프로이데가 아주 고약한 감정으로 보이는 이유 중 하나는 남의 육체적 고통과 서툰 행동을 보고

우월감을 느낄수록 더 잔인한 구경거리를 찾고픈 유혹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충동 사이에 있는 것 같다. 개성과 재능을 찬양하고픈 충동과 그것을

비난하고 싶은 충동. 남들의 불이익으로부터 심리적인 이득을 얻는다는 생각이 저변에 깔려있다.

이 책을 읽으며 다른 소설책을 읽다가 샤덴프로이데가 연상되는 장면을 마주했다.

많은 일상의 순간들에 생각보다 우리는 종종 이런 감정을 느끼고, 스스로 화들짝 놀라기도 한다.

그만큼 우리가 빈번하게 일상에서 느끼는 감정의 한 부분이라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남의 불행은 꿀맛"이라는 일본의 속담을 비롯해 세계 많은 나라들에도 샤덴프로이데를 지칭하는

말들이 오래전부터 있어왔고, 기독교 구약성경에도 "네 원수가 쓰러졌다고 기뻐하지 말고 그가 넘어졌

다고 마음속으로 즐거워하지 마라"라는 잠언서의 기록이 전해져 올 정도이다.(잠언 24장 17절)

 

책 속에서는 다양한 샤덴프로이데의 상황들과 오랜 시간 이어져 왔던 인간 심리의 부분들을 분석한다.

우리는 종종 상류사회의 일면을 통해 박탈감을 느끼고, 반대로 하향 사회의 단면들에서는 자기보다

상황이 좋지 않은 사람과 비교함으로 자존감을 높이는 경우가 생긴다.  심지어 가끔 남들의 기분을 풀어

주기 위해 우리 자신의 불행을 기꺼이 털어놓기까지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목차만으로도 우리가 일상의 많은 순간들에서 느껴봤을 샤덴프로이데의 상황들이 떠오른다.

샤덴프로이데는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대는 인터넷으로 타인과의 소통이

활발해지고 범위도 기하급수적으로 넓어진 세상이 되었다. 개인이 아닌 집단의 감정으로 표출이 되기도

하는데 정의와 공정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본능, 위계질서를 구축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고자

하는 욕망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다. 규칙을 어긴 자가 망신을 당하는 모습을 표출하는 샤덴프로이데는

선의의 힘이 되어 공적 담론을 이끌어 내기도 하고, 마녀사냥처럼 누군가의 희생이 SNS를 통해 연출

되기도 한다.
SNS의 왜곡된 전달력이 주는 폐해들에 대해 저자는 재미있는 규칙들을 나열한다.

"유명인과 친한 척하지 말 것, 자녀들의 성적을 자랑하지 말 것, 새로 산 비싼 코트를 보란 듯이 펄럭이지

말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 티 나지 않게 은근히 자랑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수고를 한다는 것! 
결국 샤덴프로이데는 남들보다 자기가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자들에 대한 반감이라는 말로 표현된다.

샤덴프로이데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저자는 그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를 제시한다.

윤리적으로 애매모호한 감정 "샤덴프로이데"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샤덴프로이데를 나쁜 감정, 옹졸하고 뒤가 켕기는 감정으로 생각하지만 인간의

유연한 감정의 비범한 기술이라고 결론을 짓는다. 차라리 가끔 샤덴프로이데의 감정을 스스로 자백하

라고 조언한다. 상호작용은 혼자만의 일이 아니다. 타인과 우리는 서로의 실수에서 기쁨과 안도감을

찾는다는 사실. 은밀한 감정 같았던 샤덴프로이데를 꺼내놓은 순간 별것 아닌 것이 될 수도 있다.


남의 실패를 고소하게 여긴다고 해서 바뀌는 게 있기나 할까? 샤덴프로이데는 악의적인 감정이 아니라

낙담하고 실패하는 사람이 나뿐이 아님을 발견하는 삶의 구원 같은 역할을 하는 복잡 미묘한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 중의 하나이니 죄책감을 가지지 말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