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그릇 밥 - 쉽고 간단한 매일 집밥 101
배현경 지음, 이혜민 사진 / 샘터사 / 2020년 6월
평점 :

어린 시절 놀이 삼아 하던 소꿉놀이는 어느새 가족의 삶과 일상 속 생활이 되었다.
서툴고 부족해도 결국 집밥이 주는 위안은 마음속 온기를 채워주고, 건강의 가장 기본인 집밥.
가곡의 취향이 반영되고, 제철 재료가 주는 건강함을 매일의 식탁에 담는다.
이왕이면 예쁘면 좋겠고, 맛과 멋을 담아내는 다양한 한 그릇의 성찬들.
손쉬운 재료들로, 간편하게 밥상을 차리는 노하우들, 레시피가 아니라도 종종 들춰보며 그날의 식단을
떠올리고, 냉장고 속 재료들로 조금 변형해도 좋을만한 집밥 메뉴들.
가끔은 식탁에도 멋을 부리고 싶다. 매일매일 비슷한 메뉴들이만 담아내는 그릇만 달라져도, 식탁의
세팅만 달라져도 기분이 좋아진다. 우리 집엔 종종 냅킨으로 식탁의 생기를 불어넣는다.
부엌살림들은 오밀조밀한 것들이 많아 종종 잊어버리고 못쓰는 것들이 많아진다.
이젠 더하기보다 있는 살림 활용하기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식단이지만 가장 속이 편안한 메뉴들. 밥만 맛있어도 식단의 절반은 성공이라고 생각
하는 우리 집 식탁의 1등 공신은 갓 지은 밥. 요즘은 나트륨 섭취의 주범인 국이나 찌개는 좀 덜먹으려고
하는 편이다. 간단하고 한 끼에 먹을 만큼씩만 조금씩.

재료에만 변화를 주면 다양한 덮밥이 되는 메뉴들. 요즘엔 간편하게 중간 조리가 되어 나오는 것들도
많지만 싱싱한 재료와 야채만 더해주면 맛과 영양을 챙길만한 메뉴들이 꽤 많다.
계절별로 제철 재료들 활용하기 가장 손쉬운 메뉴들.
찬밥이 생기거나, 냉장고 속 재료들로 십분 활용하기. 요즘엔 온 가족이 모여서 식사하기 쉽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남는 재료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카레가루나 계란으로 볶음밥 만들기.
특히 입맛 없는 계절엔 볶음밥만큼 응용하기 좋은 메뉴도 없는 듯. 기름에 볶아 먹는 야채들은 흡수율도
높여주니 일거양득이다.
김밥 속에 무엇을 넣어도 실패하기 힘든 메뉴 김밥. 그냥은 안 먹는 재료들 종종 김밥에 넣어 먹이면
골고루 먹게 된다. 많은 재료 넣지 않고, 고추냉이 간장에만 찍어 먹어도 좋은 김밥.
책 속에 수록된 레시피들을 넘겨보니 거한 요리보다 실용 요리가 많아서 좋다.
예전처럼 밑반찬을 해두고 먹진 않지만 다양한 소스들 준비해 놓으면 간단하고 빠르게 상차림을 할 수
있다. 요즘엔 워낙 다양한 소스들이 시판되어 있긴 하지만 기본적인 양념장이나 소스는 만들어두고
먹는 것을 선호한다.
만들어 먹으면 신선하고 믿을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비용 면에서도 절감되는 것
들이 있다. 특히 제철 해산물로 어렵지 않은 과정을 거치면 거한 메뉴들도 가능하다.
땀 흘리는 계절 여름이 벌써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요즘, 한 그릇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노하우를
담은 이 책이 반가웠던 이유다.
오늘 저녁 우리 집 메뉴는 콩비지가 먹고 싶다던 그녀와, 닭 한 마리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는 주부의
냉장고 속 재료 때문에 이렇게 두 솥으로 마무리되었다. 이열치열 속 든든한 한 끼
간편하고, 맛있는 한 끼 메뉴가 필요할 땐, 역시 요리책으로 휘리릭~ 넘겨보며 커닝하는 게 가장 쉽다!
쉬운 재료들로, 제철 재료로 만드는 집밥 한 끼의 노하우,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