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를 위한 글쓰기 연습
여상미 지음 / 믹스커피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와 함께하는 글쓰기의 모든 것이라는 테마 아래 아이를 위한 글쓰기부터, 아이와 함께하는 글쓰기,

태교부터 육아 전반에 걸친 글쓰기에 대한 조언을 담았다.

요즘 코딩이라는 용어가 종종 등장하곤 하는데 컴퓨터 언어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만드는 작업처럼

이야기를 코딩하는 습관을 들이는 방법을 소개한다.

<토지>의 작가 박경리는 "삶이 곧 습작"이라는 말로도 표현을 했다.

삶의 과정을 글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글쓰기 이외의 더 많은 장점들을 마주하게 된다.

일상의 기록 습관은 아이와 관련해서도 빼놓지 않고 계속되었다.

태교일기부터 아이가 태어나서 하루의 기록까지 기록하며 육아에도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하루하루 성장과정의 기록은 신생아 시기에는 특히 중요하다는 걸 경험으로 알게 된다.

수유 일지부터 성장의 기록까지 기록하며 직장맘으로 아이를 케어하는 과정에서 지나고 보니 또 다른

추억으로 자리 잡았다. 유아기 아이의 언어는 그 자체가 예술이고 힐링이었던 날들의 기록.


아이가 성장하고 나면 독서지도와 소통의 역할을 톡톡히 하기도 한다. 학교에 입학하고 나면 관찰일기,

생활일기, 글짓기 등등 아이의 글쓰기 습관은 꼭 필요한 교육의 한 과정이기도 하다.

상상력을 키워주는 동화 쓰기부터 독서감상문 등의 글쓰기를 통해 아이의 성장과 정서에도 꼭 필요한

과정인 글쓰기 지도의 방법으로 활용할 만한 지도안들이 각장에 수록되어 참고하도록 구성되어있다.


특히 이 책은 엄마의 글쓰기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도 비중을 높게 담았다.

엄마의 글쓰기가 아이의 사고력과 창의력, 문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이기도 하다.

아이에게만 글쓰기를 강요하기보다 엄마와 소통하는 하나의 놀이처럼 글쓰기를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것도 경험상 꽤 중요한 포인트였다.

 

돌이켜보면 글쓰기는 하나의 습관이기도 하다. 자연스럽게 생각을 정리하고 글을 쓰는 과정에서 아이의

성장 또한 변화를 보이게 된다. 글쓰기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말과 글의 상호 관계에 대한 익숙함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일상의 간단한 메모부터 시작해서 함께 공유한 책이나 공연, 전시 등등의 경험을

기록하는 일부터 가볍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엄마의 육아 패턴은 아이에게 알게 모르게 영향을 많이 미칠 수밖에 없다. 이 책에서는 아이에게 학습적

으로 지도하는 방식보다는 자연스럽게 엄마부터 일상의 글쓰기를 생활 속에 녹여보는데 중점을 둔다.

글쓰기라고 하면 부담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글쓰기를 통해 육아는 물론, 엄마 스스로의 일상에도

유용한 팁이 될 만한 노하우들이 잘 정리되어있다.

부록으로 유용한 우리말과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등이 수록되어있는데 바른말과 바른 표현 등을 일상에서

아이와의 소통에서도 잘 활용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