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사람을 위한 책쓰기 - 누구나 책 쓰는 시대, 팔리는 책을 쓰는 비법
이상민 지음 / 덴스토리(Denstory)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는 퍼포먼스의 시대이자 가치교환의 시대이다. 자기 콘텐츠를 가지고 퍼포먼스를 내는 사람이

주목받고 , 책을 쓴다는건 글쓰기가 아니라 콘텐츠를 만드는 일!

단순히 글의 전달이 아니라 자기 콘텐츠를 증명하는 전문가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가장 빠른 최고의 퍼스널 브랜딩은 책쓰기로 자신의 콘텐츠를 검증받는것이라고 하겠다.

요즘 읽는 책들의 공통 화두는 트랜드에 따라 콘텐츠를 담은 자신을 브랜딩하는것이 추세가 되었다.

플랫폼의 방식이 다를뿐 결국은 콘텐츠가 또 중요하다.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아이를 키우며 나의 커리어와 상관없이 콘텐츠를 기획하는 일을 오랫동안

하게되고, 이미 꽤 오래전에 네임벨류가 있는 출판사와 출판계약을 두권이나 하고 감수해 주실분과의

미팅까지 이어졌던 나의 책은 결과적으로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던 씁쓸한 경험을 했다.

내가 진행했던 책은 시리즈중의 두권이었는데 여러필자들의 기획기간이 상대적으로 시장성과 맞지

않았던 탓이다. 아쉬운 경험을 통해 기획과 출판시장의 흐름등 여러가지가 잘 맞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요즘 책을 내는 필자들을 보면 한 분야의 전문가인 경우도 많지만 오히려 전혀 상관없는 분야의 사람들

이 도전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하거나, 연예인등 인플루언서들을 저자로 하는 출판이 대세가 되기도 했다.

아무래도 시장성과 맞물리면 기본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되는 요소들이다.

 

책의 콘셉트를 정하고, 읽을 독자대상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잡아야 한다. 욕심껏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다가는 자칫 겉핥기식의 내용없는 책이 될 수 있음을 충고한다.

책을 쓰기전 가장 중요한 과정은 자료수집이다. 종전에 베스트셀러가 되었던 책들중에는 전혀 전문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탄탄한 내용을 인정받은 책들이 꽤 많다. 자료수집은 책쓰기의 심장이라고 할만큼

검증된 자료여야 함은 당연하다. 저작권이나 미리 사전에 꼼꼼한 준비를 해야한다.

책쓰기에 대한 전반적인 준비부터 구체적인 과정들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책이지만 가장 핵심은 글쓰기

글을 쓰는 컨셉트에 대한 이야기가 비중있게 다뤄진다. 보통의 글쓰기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다. 오랫동안 콘텐츠작성을 했던 나의 경험을 돌이켜봐도, 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준비하는

스크립트를 쓰면서도 여전히 나도 꾸준히 글쓰기를 하게 되는데 공통적으로 글은 상대방에게 쉽게

전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정보도 상대방이 이해하지 못하는 글은 아무 의미가 없다.

'지식의 저주'라는 말이 있다. 다른 사람의 반응을 예상할때, 자기가 알고있는 지식을 다른 사람도 당연히

알것이라는 고정관념에 빠져 나타나는 인식의 왜곡을 말한다.

쉽운 문장으로 표현하되, 장황하지 않게 단문으로 쓰기가 바로 글쓰기의 핵심이라고 하겠다.

 

결국 책쓰기는 개인이 보는 일기가 아니라 대중을 상대로 쓰는 글이다. 단순히 글의 전달이 아니라

독자로 하여금 구매를 유도하고 예리한 콘텐츠를 담아야 할 의무가 저자에게 있다.

요즘처럼 변화의 흐름이 빠른 시대에는 준비와 실행의 사이클도 중요하다. 준비된 저자로서의 욕심을

접고 구체적인 기획의 실행단계를 통해 지금의 조건으로 결과를 만드는것에서부터 시작하자!

많은 시행착오 속에서 좋은 결과물도 나오는 것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