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플랫폼의 행동 방식 - 세계 비즈니스 판도를 뒤바꿀 발칙한 전략과 혁신
이승훈 지음 / 와이즈베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랫폼이라는 단어의 발상지는 미국이다. 대표적 플랫폼 기업들은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등을

떠올리곤 하는데 대표적 플랫폼 기업들은 인터넷2.0이 만들어낸 '개방과 공유'라는 시대지성을 구체적

서비스로 구현하여 인류적 진보를 만들어 냈다. 인류는 구글로 경계없이 지식을 공유하고, 페이스북으로

개방형 미디어로 이야기를 전할 수 있게 되었다.

가장 인상적이었던것은 구글과 페이스북등을 이용하며 자연스럽게 광고피드에도 노출이 되게 되는데

본인의 호감정도등이 반영된 광고피드, 그리고 페이스북의 뉴스피드등에서 주는 장점과 단점들에

편리함과 불편함을 경험했던 기억들이 떠오른다.

이 책에서는 특히 대규모의 수요경제를 확보하고 있는 중국의 플랫폼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세계의

비지니스 판도를 바꿀 만한 전략과 혁신등 중국의 플랫폼은 기존의 미국중심의 플랫폼과 차별화하여

빠른 성장세로 부상하고 있다.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시장규모와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하여

대중들의 현실삶과 연관된 영역에서 발전이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미국과 중국의 플랫폼 경쟁은 시장의 특성이 다르고, 그 과정에서 미국은 진출 10년만에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모바일 플랫폼으로 까지 확대된 근간에는 자율주행차,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적인 영역으로도 확대가

예상되는 현재, 지정학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두 나라의 플랫폼의 변화과정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플랫폼 기업은 공급자와 소비자라는 양면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장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가장 대표적인 에어비엔비와 우버를 비교해보면 에어비엔비는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를 만족시키는 서비스인반면 우버는 대다수 참여자들이 운영방식을 만족스러우 하지 못하는 단점

으로 인해 성공적인 플랫폼이 성립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플랫폼의 규모가 중심이었던 시작점은 어느새 수익으로 가치변화의 양상을 띤다. 다소 난해하고 복잡한

정보들에 우리나라에서 한창 인기를 끌었던 사이월드와 페이스북의 비교나, 미국중심의 플랫폼과 비교

하여 설명하고 있는 중국 플랫폼의 소개로 인해 그간 용어상으로만 접했던 다양한 플랫폼시장경제에

대한 궁금증을 많이 해결했다. 근간의 경제규모는 나라중심에서 세계곳곳으로 퍼져가는 형태이다.

개인적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직구와같은 방식으로 경제적인 소비를 하는 시대가 되다보니 이런 플랫폼

운영방식에 대한 정보를 알면 좀더 유용한 점들이 많게다는 생각을 했다.

 

처음 이 책과 마주했을때 너무 어렵고 난해했던 선입견이 책의 마지막장을 넘기며 의외로 우리 실생활과

많은 부분들이 연결되어 있어서 평소 무의식적으로 듣고, 이용하고, 낯설었던 정보들에 대해 정리가 많이

된 느낌이다. 근간에 코로나등 갑작스러운 천재지변과도 같은 변화들에 은행금리와 투자위축으로 인한

손실이 실제로 와닿는 상황이라 이런 책들에 대한 관심사를 꾸준히 가져야겠다고 느끼는 요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