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세상을 균형 있게 보는 눈 - 시장경제를 알면 보이는 것들 아우름 43
김재수 지음 / 샘터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장경제라고 하는 용어는 일상에서 우리가 별로 인지하지 못하곤하지만 의외로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경제학은 경제현상의 인과관계가 어떤 조건과 맥락에 따라 달라

지는지 연구한다. 유토피아에 존재할 수 없는 것이 바로 경제학이라고 한다.

사유재산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누구나 부자이고, 개인의 경제활동이 무의미하다.

희소성이 낳는 선택의 문제를 연구하는 것이 경제학이고, 그런 희소성에 의해 경제가 성립된다.

시장 경제가 움직이는 방식이 살기좋은 세상을 결정하는데, 시장경제의 두 얼굴을 통해 균형있게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과 호기심을 갖는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이 책의 중심이다.

샘터 아우름  인문교양 시리즈는  각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의 시선을 빌어 어렵고 난해한 지식 전달보다

평소에 미처 생각해 보지 못했던 분야들에 대한 시선의 영역을 넓혀주는 장점이 있다.

매번 필자에 따라 글의 전달방식이나 다루는 주제가 다양하다보니 차곡차곡 쌓여가는 정보들이 실제로

일상에서 유용하게 다가온다. 이번 책에서 다루고 있는 시장경제는 그야말로 요즘처럼 코로나로 인해

사회적인 거리감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많이 실감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생산과 소비가 위축되고 선순환의 경제가 마비된 요즘, 우리에게 시장경제가 주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된다.


경제학적 사고방식의 첫걸음은 모든일에 어떤 대가를 지불하는지 확인하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경제를 성장하게 하는 세가지 요소는 자본, 노동, 기술이지만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

는 기술이 아니다. 자본과 노동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미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시작되었고

경제성장은 한계를 보이기 시작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 과정에서 불평등의 증가로 인한 빈부의 격차도

심해지는 현상을 보인다.

시장경제의 다양한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는 책의 시선을 따라 독점에 대한 부분을 읽으며 요즘 한창

대란을 일으키고 있는 마스크사태를 생각하게 된다. 독접은 시장가격을 높이고 거래량을 줄이기도 한다.

독점자체는 시장경제에서 불법이 아니지만 남용하는것은 명백한 불법으로 간주된다. 이 외에도 기업의

책임과 공공성, 자본주의 비대칭등 경제현안에 대한 부분들에 다가간다.

결국 이 책에서는 시장경제에 대한 정의보다 다양한 경제현상으로의  접근을 통해 우리의 균형잡힌

경제를 보는 시야를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시장경제라는 것 자체가 늘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다보니 관심과 균형있는 판단과 실천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