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대생 공부법 - 입시 위너들의 단기간 고효율 학습 노하우
박동호.김나현.이기준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1월
평점 :

공부법에 대한 책들.꽤 많이 읽었을거란 생각에 내가 읽고 썼던 리뷰들을 세어봤다. 무려 19권.
늘 공부법에 관한 다양한 궁금증과 노하우들에 대한 뭔가 특별한 노하우를 기대하고 읽고나면 결국은
비슷비슷하고 알고있던 방법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가만 생각해보면 공부법은 방법이 아니라, 인내에 가깝기 때문이다.
이 공동 저자중 한사람이 알고보니 아이학교 선배다. 그래서 더 반갑게 책장을 넘긴다.
<의대생TV>를 운영하고 있는 공부좀 해본 선배들의 노하우를 통해 학습의 빈틈을 채워본다.
가장 기본적인 공부의 원칙. 그과정에서 중요한것은 시간이 아니라 효율이 중요하다는것을 알수있다.

공부법하면 늘 빠지지않는 '에빙하우스 망각곡선'
하루의 시간은 늘 누구에게나 같이 주어지는데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하는지, 그리고 지능지수보다
학습능력은 메타인지, 즉 모르는것에 대한 자각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공부법이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될 수는 없다. 책에서는 다양한 방법과 경우들을 소개하고, 참고할
만한 영상들을 추천하고있어서 각자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것이 가장 먼저다.
공부에 도움이 될만한 책들도 추천목록으로 소개하고 있는데 꽤 오래전 출간된 책들이다.
이중 나도 몇권을 이미 읽었던터라 반갑기도 했다.
이 책의 핵심은 스터디플래서 활용법이라고 할 수있겠다. 아무래도 짦은시간에 효율적인 시간관리나
학습관리를 하기위해서는 계획과 실행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실행후 점검을 거치는것이 중요하다.
오래 앉아있는 시간이 공부에 온전히 집중한 시간이 아닐경우도 있고, 다양한 시험을 본후에는 더욱
학습에 대한 헛점들을 점검해보기 좋은 시기이다. 이책의 구성에도 플래너가 함께 포함되어있다.
자신만의 시간관리와 학습계획이 자리잡으면 학습의 효율은 오르기 마련이다.

내가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플래너 활용법은 연간계획표와 월간계획표를 병행하는 일이다.
아무래도 단기간의 시간활용의 기반은 연간계획속에서 더 세분화 될 수밖에 없다. 눈앞의 목표와 더불
어 좀더 장기간의 플랜을 통해 시야를 넓혀보자. 단기간의 목표설정에 힘들 실어주는 방법중 하나다.
요즘은 많은것들이 디지털화 되어있어 편리함도 있지만, 아날로그 방식으로 기록하고 점검하는 스터디
플래너는 손으로 쓰고, 표기된 것들이 쌓여가며 성취감을 높이는 역활도 한다.
하루하루 열심히 공부했어도 뭔가 늘 부족한것 같은 허전함을 느끼게 마련인데, 플래너의 학습량을
기록하는 과정자체가 스스로의 학습을 북돋운다.

결국 학습은 남에게 좋은 방법이 모두 내게도 맞을수 없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고, 좋은 사례들을 참고
하여 시간대비 효율을 높이고, 스스로의 빈틈을 매워나가는 방식을 찾는것이 가장 큰 노하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