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세 번 죽었습니다 - 8세, 18세, 22세에 찾아온 암과의 동거
손혜진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을 책 도서목록을 신청할때 고민이 되는 순간은 이런책을 마주할 때이다.

아프고 힘든 이야기를 책으로까지 접해야하는 이유가 있을까, 뭔가 읽고나서 개운하지않을것같아서

잘 펼쳐들지 않는데, 그래도 뭔가 희망적인 과정을  기대하며 작가의 이야기에 귀를 귀울인다.

우리일상에서 가장 중요한것들중 잃기전엔 알수 없는 소소하다고 느껴지는것들이 꽤 여러가지 있지만,

건강은 특히 모든 일상의 가장 기본이라고 점점 더 느낀다.

몸이 아프면, 손가락하나만 살짝 베이고 나도 신경이 온통 쏠리곤하는데 오랜기간 투병하는 삶은 생각만

으로도 너무 지치고 힘든다.

한번도 아니고, 무려 세번, 어린나이부터 병원을 드나드는 삶을 살았던 작가에게 마음이 쓰인다.

아이를 키우는 엄마입장이 되고보니 또 당사자만큼이나 그녀의 엄마가 안타깝다.

세상이 나날이 기술이 발전하고 의학이 발달한다고해도 늘 아픈사람은 있게 마련이고, 당사자나 직계

가족은 삶이 무너지는 경험을 할 수밖에 없다.


 

기나긴 자신의 투병기를 통해 작가는 자신의 모습에서도 희망을 발견하는 이가 있을거란 생각으로 썼다고

한다. 일상에서 흔하게 안부를 묻는 "안녕하십니까?" 이런 흔한 인사조차도 아픈이들에게는 상처가

될 수 있다는것을 알았다. 몸이 아니라, 마음이 힘들때도 많은 위로의 말보다 옆의 온기만으로도 오히려

힘이 되는 순간들이 있다. 진짜 힘들땐 말하는것 조차 무게감이 되는 순간이 있다.

초등 입학시절부터 병마와 싸웠던 저자는 학창시절 사춘기부터 성인이 된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과의

관계속에서 여전히 병마와 싸우며 자신을 일상을 지탱하고 있다.

책을 읽을 많을 독자들중에도 다양한 위치에서 저자의 이야기에 더 와닿는 부분이 다를것같다.

 

삶을 살아가며 가장 힘든일이 무엇일까를 생각해본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아픔이 가장 아프다고 느낄것이고, 누구나 아픔의 순간을 겪게 된다.

몸이 불편해도, 마음이 불편해도 일상의 균형은 깨질수 밖에 없음을 누구나 경험하고 겪어가는 과정이

인생인가 싶기도하다. 자신이 가진것에 대한, 못가진것에 대한 자만심이나 무력감이 때로는 가장 큰

문제인 경우도 있다.

책장이 뒤로갈수록, 저자의 세월이 흐르는 이야기를 읽을수록 마지막엔 희망적인 결과를 담았으면 좋겠

다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안타깝게도 내 기대와 기원과는 달리 저자는 여전이  투병중이다.

너무오랜 투병중인 그녀에게 힘을 내라고 말하기도 너무 가볍게 느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엔

희망의 말로 다음책을 내주길 기대해본다. 잘 버텨주기를 마음속으로 기원한다.

긴 터널끝에는 희망의 빛이 분명 있기마련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