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나에게만 친절합니다 - 독일인에게 배운 까칠 퉁명 삶의 기술
구보타 유키 지음, 강수연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1월
평점 :

책제목과 표지그림보니 무척 까칠하다. ^^
그런데 이 책은 일본인으로서 독일생활에서 느낀 삶의 철학에 대해 잔잔히 소개한다.
그러고보니 휘게, 워라밸,그리고 일본의 단샤리에 대한 삶의 미니멀라이프와 슬로우라이프를 지향한다.
책에서 다루는 테마는 크게 일하기/쉬기/살기/먹기/입기
가장 기본적인 삶의 사이클을 따라간다. 실제로 저자는 프리랜서로의 삶속에서 지난 시간 바쁜 직장인
으로서의 삶도 종종 꺼내어 비교를 한다. 일본은 우리와 지리적으로도 꽤 가까운 나라이지만 삶의 모습
에서도 참 닮아있음을 느낀다.
일본인으로서 독일에서의 삶의 단상을 소개하는 저자의 글에서 내심 기대감도 생기고, 내 짧았던 독일
여행에서의 인상도 떠올려지고 좀더 들여다보고 싶은마음에 살짝 설레기도 했다.

독일에 대한 서비스이미지와 업무시간은 무척 유동적으로 소개가 되고있다. 긴 정기휴가와 이른시간
모든업무가 종료되는 이들의 문화는 내가 경험했던 것과 별반다르지않다.
독일의 상점들이 6시가 되기도전에 일찍부터 문을 닫아서 당황했던 기억에 웃음이 났다.
외지인으로서 독일이라는 사회에 대한 저자의 글을 읽으며 공감되는 부분도 많고, 부러운점도 많았다.
생각해보면 일을 하는 주된 목적은 삶을 윤택하게하기위한 과정인데 우리는 종종 일상의 많은 부분을
포기하고 일에 끌려가는 삶을 사는경우가 종종 있다는 생각에 씁쓸하게 느껴졌다.
서로가 서로를 경쟁의 대상으로 보게되는 각박한 현대의 삶은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일에 쫓기지 않고, 쪼이지않고, 삶속에서 일의 비중을 조욜해볼 필요가 있다. (물론 쉽지않겠지만)
바쁜 직장인으로서의 삶을 살았던 저자는 일모드와 쉼모드의 전환에 대해 언급하기도 한다.
쉬는시간을 온전히 쉼에 할애하고 있지 못하는 삶을 이야기 할때 참 공감이 되었다. 언젠가부터 일상이
늘 뭔가에 떠밀리고 있다는 생각을 하는 순간이 종종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시간을 핑계로
쉬는것도 일하는것도 아닌 삶의 순간들이 종종 펼쳐진다.
요즘은 주말의 다양한 행사들이 평일로 옮겨가는 추세이기도 하다. 주말만이라도 온전히 휴식을 갖는
문화가 자리잡아가는 것은 반가운 현상이다. 쉴때는 온전히 쉬는일에 충실하기.

유럽의 주거형태와 우리의 주거형태는 참 많은 차이를 보인다. 무조건 넓고, 새로 지은 집을 선호하는
문화인 우리의 생활과 100년이 넘는 주거형태를 유지하는 그들과 가장 다른 부분이기도 하다.
스스로 만들어쓰는 가구(D.I.Y)는 이미 새로울것이 없지만 일상의 실용성을 추구하는 그들의 삶은
과소비를 막고 삶의 여유를 주는 원동력이라는 생각을 책을 읽으며 하게된다.
독일버젼의 휘게는 '게뮈트리히"라는 말로 안락하고, 편안하고, 느긋하게 쉰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타인의 시선이 아닌 나 위주의 삶에서만 가능한 방식이라는 점에서 모방할 만한 생활방식이다.
여유있게 가족이 함께하는 시간속에서 삶의 방식도 바른문화로 자리를 잡게되는것은 당연하다.

책을 읽으며 내가 가장 변화를 갖고싶다고 느낀부분은 먹기"를 다룬부분이었다.
집밥에 대한 집착이 있는 나는 스스로 삶의 많은 부분에서 불필요한 수고를 반복하고 있다는 생각에
요즘 많이 걸러내는 일을 하고있다. 삶의 여유는 시간자체를 만들어내는것보다 과정에서 효율적인
소비를 하는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 심플한 한끼가 정성이 부족한것은 아니다라는 세뇌를 하는중.
책을 읽다보니 우리의 삶속에서 여유를 잃게되고, 삶이 부산해진 이유가 금방 드러난다.
겉치레에 신경을 쓰고, 삶의 거품을 너무나도 많이 안고있다는 생각이 가장 많이 들었다.
책제목에서 느껴졌던 까칠함은 스스로를 통해 삶의 거품을 덜어내고, 여유를 만들어내는 방법들에대한
힌트로 다가왔다. 타인을 배려하는 미덕이 과해 스스로의 삶이 피곤해지는 경우는 없는지 냉정하게 돌아보게 만드는 책이다. 삶의 여유가 없는 이들에게 권하는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