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가해자들에게 - 학교 폭력의 기억을 안고 어른이 된 그들과의 인터뷰
씨리얼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왕따였던 어른들 Stop Bullying> 유튜브채널에 올라왔던 학창시절 왕따의 끔찍한 기억을 가슴에 새긴

채 어른이 된 이들의 인터뷰영상을 책으로 출간한 <나의 가해자들에게>

누군가는 재미삼아 했던 일이 누군가에게는 평생의 상처로 남아 트라우마를 장착한 채 살게된다.

 

숨기고 싶었던 자신들의 아픈과거를 어른이 된 이후에도 마주하게 되는 시간이 그들에게 결코 쉽지않았

을텐데 지난시간을 돌이키며 지금 이순간에도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을 이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와 또 그들의 주변인들에게도 행동해 줄것을 일깨운다.

한 사람의 성장 과정은 책속 삽화가 참 잘 대변해준다. 한폭의 그림을 그려나가는 과정에 잘못된 채색,

혹은 얼룩이 묻더라도 그림을 구겨버리기보다, 얼마든지 수정할 수 있다는 비유가 참으로 와닿았다.


유튜브인터뷰 텍스트를 책으로 출간한 이 책은 남자반과 여자반으로 구별되어 이들의 기억을 더듬는다.

지나고 나면 아무것도 아닌것이 아니라, 성장기의 가장 민감하고 성숙하지 못한 시기의 작은 시련은

사람에 따라 더 큰 상처를 남기게 된다. 미술심리치료사로서 또 한 아이를 키우는 엄마의 입장에서

학교생활에서 관계의 어려움에 놓인 아이를 만난적이 있다.

생각보다 아이는 주변의 특정한 가해친구를 둔것보다 심각하게 민감한 엄마를 둔 가정의 문제가 더

커보였다. 이 책에서도 어려움을 겪었던 이들의 과거 경험담과 더불어 가족, 학교선생님등 어른으로서의

관심과 조언을 보여야 할 어른들의 태도가 많이 아쉬웠다고 회고한다.

​근간에는 워낙 학교폭력의 사례들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위클래스를 비롯한 제도들을 시행하고 있지만

실상 허울뿐인채로 운영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오히려 피해학생들의 보호보다 이들을 더 위기의 상황에

몰고갈 빌미를 제공하게 되는 경우마저 있으니 좀 더 신중하게 시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뉴스를 볼때마다 학교폭력의 수위가 점점 높아지고, 그들의 연령이 무척 어린아이들이라는 점에서

우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한 사회에서 아이들을 낳고 키우며 서로가 관계를 맺어가는 과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것은 일단 이들이 가장 오랜시간을 보내는 학교나 가정이 될 수밖에 없다.

개인주의적인 삶이 중시되는 시대로 변해가고 있으나 결국 사회는 개인과 개인이 연결되어 질 수밖에

없는 시스템이다.

인터뷰로 참여한 이들은 어려움속에서 또 다른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생기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

자신들의 아픈기억을 꺼내보이는 용기를 냈다. 타인의 어려움을 돌보는 일이 결국엔 우리가 사는 사회속

온기를 높이는 길이기도 하다.


피해자나 가해자 누구 한 사람의 입장이 아닌 방관자로 불리우는 주변의 관계와 더불어 치유와 공감,

그리고 예방과 선도로 이어질 수 있는 바램을 담아본다. 사소한 관심이 때로는 누군가를 살리는 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