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에티켓 - 나 자신과 사랑하는 이의 죽음에 대한 모든 것
롤란트 슐츠 지음, 노선정 옮김 / 스노우폭스북스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일의 저널리스트인 저자가 죽음에 관한 모든것이라는 주제로 직접 죽음과 관련하여 일선에 있는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과 취재를 통해 막연한 죽음이라는 용어중심에서 벗어나 나와, 그외의 많은 타자의 죽음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룬

죽음이라는 막연한 상태에 대해 초근접 서사라고 해야겠다.

실제로 독일 올해의 저널리즘 로포상을 수상한 작품이기도 하다.

누구나 태어나면 반드시 언젠가는 맞이하게 되는 상황이지만 우리는 애써 어둡고, 낯선 죽음을 고찰하길 꺼린다.

우연인지 요근래 내가 읽었던 책들중에도, 출간되는 책들중에도 시한부의 삶을 남기고 써내려간 자전적인 글들이 꽤

많았다.

나 아닌 타인이 아니라, 내가 죽음을 맞게 된다면...혹은 나 아닌 전혀 다른 제 3자의 죽음을 이책에서는 상황별로

상세하게 몰입하게 만든다.  긴장되고 낯선 상황의 전개가 살짝 당혹스럽기도 하지만 감정에 치우친 에세이가 아니라

이성적인 상황의 파악으로 금방 몰입이 된다.

책갈피에 적힌대로 " 생의 끝을 안다는 것. 유한함으로 더욱 찬란한 오늘을 산다는 것."

그렇다. 두렵고 낯설어서 외면하기보다 끝을 알고(그 시기가 구체적이지 않더라도) 그 상황별 예측이 가능하다면 좀더

후회스럽지않은 결말로 생의 마감을 준비하게 될것이다.

죽음이라는 단계를 거쳐 모든것이 끝이 아니라 우리에게는 누군가 남겨진 이들도 있을테고, 죽음의 순간이 나와 가까운

사람일 경우에도 이 상황들은 같을 테니까.

 

한 사람의 일생이 시작됨과 동시에 우리는 모두 죽어간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살고있다고 할 만큼 삶과 마찬가지로 죽음 또한 저 우주밖의 먼일이라는 생각에서 살고 있는것은

아닌지 새삼 생각하게 되었다. 삶에서 그리 많은 죽음의 경험을 갖고 있는 나이지만 누군가 가까운 지인이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았을때 우리는 위로의 말을 건네는것이 다반사이다.

누군가의 삶의 시한부를 알리는것부터 조금스럽지만, 책의 저자도, 나의 생각도 당사자가 알아야 하는것에 동의 한다.

삶의 과정에서 늘 좋았던일만 있을수 없을뿐 아니라, 생의 정리라는 차원에서도 꼭 필요한 시간이 있을테니까.

 

임종을 앞둔 누군가에게 위로의 말을 건네는것도 저자는 본인의 의지가 많이 반영된다고 소개한다.

내가 만일 그사람의 입장이 되었을때 원하는 상황대로 자신의 감정이입을 한다는것. 역시나 그런 상황들은 각자의 주관에

따라 달라질테니 역시 쉽지않은 다양한 방식을 고려하지 않을수 없다.

병원의 수술실이나 수술의사의 가운이 초록색인 이유까지 책에서 꼼꼼히 다루고 있는데 병원을 종종 드나들때 무심히

지나쳤던 그런 이유들마저도 알고보니 깊은 뜻이 담겨있다. 

누구나 나이가 들어가고, 신체적인 나이또한 눈으로 드러날 만큼 변해간다.

늘 건강하고 젊음을 유지할 거란 생각에서 벗어나 어느순간 몸의 이상신호들이 감지되기 시작하면 그때서야 우리의 몸과

마음이 나이들어 간다는 것들을 인지하게 된다.

한참 만나지 못했던 사람들을 오랫만에 만났을때 세월의 연륜이 묻어나는 상황이 오면, 어쩐지 슬퍼진다.

나이들어 변해버린 외모때문이 아니라, 삶의 여러가지 희노애락에 대한 공감이 아닐까?

이 책을 읽으며 사실 좀 놀라웠다. 죽음에 관한~ 이라는 타이틀의 책을 꽤 많이 읽어봤고, 이 책에서도 그저 그런 죽음을

매개로 여러 단상들을 소개하겠거니 짐작했었는데, 너무 구체적이고, 너무 현실적인 상황들에 대한 묘사가 당황스럽고

낯설었던 반면, 꼭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이라는 점에서 많은 것들을 숙고하게 되었다.

잘 살아가는것은,잘 죽어가는것이다 라는 말로 들리기도 했다.

 

누구나 한번은 꼭 마주하게 될 순간이지만 연습이 불가능한 일이다.

사랑하는 이들과 헤어지는 그런 슬픈 죽음의 상황에서 벗어나, 탄생 만큼이나 경건하고 중요한 죽음의 순간에 대해

더 잘알아야 하는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