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감력 수업 - 신경 쓰지 않고 나답게 사는 법
우에니시 아키라 지음, 정세영 옮김 / 다산북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둔감력"이라는 단어가 미니멀리즘과 같은 느낌이라고 해야하나?

저자는 둔감해지라는 단어의 의미를 작은 일로 초조해하지 말라는 의미라고 명확하게 말한다.

둔감하다는 말은 조금 더 유연하게, 차근차근 상황을 판단하라는 이야기다.

유연하면서도 단단한 마음의 힘을 기르기 위한 지침서.

예전에 월드컵에서 승부차기로 성패를 가르는 상황을 떠올려보면 골대앞에 선 수비수는 그 표정에서

상대선수와의 기선제압이 먼저 이루어진다. 확률 50%에서 누가 더 대범하게 실수를 하지않고 위기를

넘기는지는 마음자세에서 결정되는 것이다.

누군가는 실패의 경험에서 또다른 방법을 깨닫고, 누군가는 그 자리에서 얼어붙어 버리는 상황들.

"위험을 지나치게 민감하게 받아들이면 행동에 제약이 생긴다. 위험에 둔감해져야 강한 추진력을 발휘해

일을 성공적으로 이끌수 있다."라는 대목이 와 닿았다.

자기계발 도서를 읽을 때 매번 드는 생각은, 너무나도 당연하고 뻔히 알고 있던것들을 몰라서 실천못하는

것이 아니라는 매번 같은 결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읽을때 만이라도 일깨우다보면 일부러 행동하게 되지않을까 하는 초 긍정 마인드.

또 한편으로는 자연스럽게 행동방향을 이끌어가는 힘이 생긴다는 점이다.

오죽하면 "상식이라고 다 실천하지는 않는다."라는 말이 있겠는가.

성공의 경험과 더불어 실패의 경험또한 현명하게 사용한다면 쓸모없다고 여겨지는 경험도 귀중한 경험

으로 바꿀수 있다고 저자는 재차 강조하여 말한다. 절망에서 최선을 다하기는 어렵다는 사실.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지만, 민감한 순간에 반응하는 모습은 천차만별이다. 저자가 제안하는 행동방식은

"운근둔 運根鈍"이라는 말로 요약된다.

기회가 왔을때 놓치지 말고, 끈기있게 지속하는 과정에서 일이 생각되로 되지않는다고 좌절하지 말라

는 이야기다.

그리고 또하나는 예언자적 오류라고 하는 미리 일어나지도 않는 일들을 걱정하는 일들을 지적한다.

누구나 막연한 미래는 불안함의 요소들을 갖게되는데, 막연한 미래를 향한 우리의 과한걱정이나 불안은

가장 중요한 현재의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요소라는 점을 명심하자.

그 과정에서 사람은 신체의 건강이 가장 기본이다. 가장 기본적인 일상의 바이오리듬은 건강한 삶을

가꾸어 나가는 0순위임을 저자는 강조한다.

연륜이라는것은 삶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터득되기도 하지만 끊임없는 성찰과 숙고를 통해 꾸준히

다져가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소소한 일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하지 말고,  유연한 사람이 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