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면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 삶을 풍요롭게 하는 인문적 글쓰기 아우름 37
박민영 지음 / 샘터사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샘터 인문교양 시리즈 아우름에서 나온 글쓰기와 읽기에 관한 내용을 다룬 신간이 새로 나왔다.

늘 글쓰기를 할 기회가 많은 나는 더 많은 기대감을 갖고 이런 책들을 읽게 된다.

저자는 책에서 글쓰기의 위력을 추상적 관념을 논리화하는 과정이라고 이야기한다. 더불어 모든 작가는

작가이기 이전에 독자로서의 주체성이 강한 이들로 지성은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그 해답을 찾아가는

능력이라고 소개한다.

우연한 기회에 시작된 글쓰기 작업들의 과정에서 출판사와 출판계약을 맺어 꽤 많은 계약금도 받아보고

실제로 감수를 해 주실 분까지 소개를 받았는데도 불구하고, 시리즈물의 출판물로서 완결되는 과정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책은 도끼다"라는 동명의 책이 이미 베스트셀러중 한권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말은 카프카가 친한 고교동창인 오스카폴락에게 보낸 편지에서 인용된 문장이다.

책이란 우리안에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꺠뜨리는 도끼가 되어야 한다는 말에서 인용되었다.

​실제로 하나의 독서라는 과정을 표현하는 방식과 이해하는 방식이 사람마다 굉장히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저자의 말대로 한권의 도서는 사회적인 언어로서 개인적인 기록과는 판이하게 다름을

인식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작가는 글쓰기는 단순히 나열, 집합된 것이 아닌 사상이 담긴다고 이야기한다.

그 사상의 정당성을 글을 읽은 사람에게 증명해야하는 과정에서 그 사상의 정당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신감과 준비가 필요하다. 글이라는 것은 그 사람의 내면을 어느순간 고스란히 드러내어 상대에게

전달된다.

글의 자료를 수집하거나 조사할때 우리가 쉽게 빠지기 쉬운 데이터분석의 오류에 대한 부분은 평소에

많이 느꼈던 경우가 많았어서 더 신중하고 정확한 정보들을 활용해야 함을 깨닫는다.

너무나도 발달한 인터넷이라는 환경은 그만큼 잘못된 정보의 확산속도도 빠르다는 사실.

 

글쓰기와 읽기에 대한 작가의 조언들과 구체적인 사례들에 많은 공감이 되는 책이었다. 사유의 도구인

언어를 가장 잘 다듬어 가는 과정은 바로 글쓰기라고하는 작가의 말대로 글쓰기또한 하루아침에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닌, 스스로의 내면의 소리를 잘 정리하여 풀어내는 과정이고, 그 과정에서 사유의 넓이도

확장되어 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진리는 고독하게 자기를 의식하는 인간에게만 말을 건넨다."는 프랑스 철학자 자크랑시에르의 말처럼

꾸준한 글쓰기는 한 개인의 지평을 넓혀주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Generalist까지는 아니라도

끊임없이 지평을 넓혀가는 T자형 지식인으로서의 앞날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