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3의 시나리오 1 - 의문의 피살자
김진명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3월
평점 :

김진명 장편소설이라는 텍스트만으로도 믿고 읽는 책. 제 3의 시나리오가 15년만에 재출간 되었다.
작년부터 남북관계에 대한 희망의 성과들이 일어나고, 근간까지 이어진 북미회담결렬등 참으로 예측
하기힘든 정치적, 미묘한 관계들.
학창시절에 읽었던 김진명의 소설중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가 절로 떠올려지는 현실인가 소설인가
헷갈릴정도로 소설의 스토리가 너무나도 현실을 닮아있다.
어느날 한 평범한 소설가의 죽음이 알려지면서 그 이면의 모종의 연관자들을 추적하다보니 한 개인의
죽음을 넘어 국제적인 정치 음모가 서려있음을 알게 된다.

세계열강과 얽혀있는 국제정세를 비롯해, 유난히 첨예한 대립이 일어나고 있는 우리나라는 한국전쟁이
휴전상태에 돌입한 이래로 늘 살얼음판 같은 위협을 느끼며 살고 있다. 화학무기만이 전쟁의 상장이
되는 시대는 이미 끝났다. 각국은 자국의 이익과 정치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첨예한 대립
속에서 협력과 견제를 양립하고 있다. 소설이라는 장르를 통해 우리는 조금 더 가상의 시나리오를 통해
혹여 일어날 수 도 있는 상황들을 예측해 보게 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소설이상의 의미가 있다.
자칫 민감해 질 수 있는 사항들이지만 문학이라는 장르가 주는 완충역활이라고 해야겠다.

실화를 방불케하는 예리한 소설가 이정서, 그리고 정의를 밝혀내고자하는 패기넘치는 행동가 장검사.
탈북자 강철민이라는 등장인물마저 연민의 감정으로 강한 인상을 남긴다.
책속 등장인물들과 전개되는 일련의 사건들은 실존인물들의 등장으로 인해 더욱 현실감있게 다가온다.
실제로 이 소설이 CIA학술정보지에도 등재되었다고 하니 얼마나 민감하게 시대상을 담고 있는지 놀라지
않을수가 없다. 소설을 허구의 문학이라고 하지만 이런 작품을 읽을때 작가가 얼마나 많은 자료와 정보들을
수집했을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팩트소설이라고 명명되어지는 김진명의 첨예한 묘사와 국제정세를
그려내는 그의 시각에 매번 감탄하지 않을수 없는 이유이다.
한때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우리나라의 촛불문화는 이제 하나의 아이콘이 되었다.
한편의 소설이 주는 일깨움을 통해 우리가 당면한 현실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된다면 소설은 하나의 문학장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이들의 눈을 뜨게 하는 촉매제로서
큰 계기가 될 것이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그의 작품에 또한번 감탄했다.
마지막 책장을 넘기는 순간까지 현실인지 소설인지 묘한 경계에 서있는 나를 발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