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 - 18세기 산업혁명에서 20세기 민족분쟁까지 ㅣ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오근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18세기 산업혁명에서 20세기 민족분쟁, 현재의 인류사까지 근현대사의 굵직굵직한 키워드들을 모두
다루고 있는 분량이 딱 한권에 정리가 되어있어 단기간에 읽는 키워드북으로 반갑다.
▶ 구소련의 붕괴▶ 급부상하는 중국▶ 인터넷의 보급▶ 국제분쟁과 난민▶ 인구의 폭발
문명展 키워드와도 이어지는 주제라서 관련주제부터 찾아보니 유용한 정보들이 많다.
근현대사의 다양한 사건들은 세상의 커다란 변화의 전환점이 되는 사건들이 많다.
책에서 현대사를 다루는 키워드로 자본주의 경제시스템, 도시의 팽창, 인공네트워크의 성장, 기술혁신,
사회시스템등에 주력해서 풀어가는 과정을 따라 여러요인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이 현대사의
변화과정의 이해를 돕는다.

근대라는 기준을 1760년대 산업혁명부터 제국주의가 시작되는 1870년대까지 약 100년으로 규정한다.
산업혁명은 서구에서 시작하여 아시아의 많은 나라들을 식민지나 종속국으로 자보주의 경제시스템을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1990년대 소련이 해체되고, 신흥공업경영국들이 확대되며
지구환경문제가 대두되며 세계는 많은 변화속에 놓여있다.
간략하게 개념과 사건들의 설명이외에도 많은 도표나 그림자료들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으로 다가
온다. 장황하고 긴 역사의 큰 그림을 그려보고 정리하는데 유용했다.

2차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세력이 저하되며 다극화시대로의 돌입을 블럭화, 혹은 다극화라고 이야기한다.
세계화가 급속하게 추진되는 가운데 경제블록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다양한 세계화의 변화는 필요에 의한 각국들의 이권이 개입되는 과정에서 그 마저도 통신망의 발달로
그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 책은 세계의 역사를 넘어 지구촌의 진화를 그려보게 하는 큰그림을 그린다.
역사는 앞서 살아간 이들의 흔적을 통해 조금 더 발전해 나가는 과정을 다음세대가 이어가는 것이다.
어제와 다른 또 다른 내일이 이어지며 발전과 또 다른 문제점들이 대두하게 되는 과정이 반복되며
이제는 지구촌이라는 하나의 커다란 관점으로 그 상황들을 보는 거시안적인 눈이 필요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