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좋은 날
모리시타 노리코 지음, 이유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월
평점 :
품절


 

茶회라는 말이 좀 생소해서 처음에는 좀 웃기기도 했었다.

일일시호일日日是好日 동명의 영화가 개봉하기도 했다.

저자의 26년 다도경험들을 통해 계절의 순환주기에 따른 삶의 미학, 철학을 경험하며 깨닫는 과정을

다룬다. 다도의 동작 하나하나를 정확히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수 많은 점을 찍는다.

그 점과 점이 가득 모여서 하나의 '선'을 이룬다.

다도를 배우는 과정이 잠깐의 방법이 아니라 그 과정이 차곡차곡 몸에 배여가는 과정이 인상깊다.

책속 사진컷들이 책을 읽는 동안 자연스럽게 마치 차회의 한 공간으로 우리를 데려다 놓는다.

잔잔하고 고요한 공간과 '와비사비'라고 하는 검소하고 조용한 아름다운 일본 특유의 미의식을 책속

차회의 시간들 속에서 소개한다. 정원에 피어있는 야생화가 다화로 활용이 된다.

다화의 여왕이라고 할 수 있는것이 바로 동백이란다. 피어있는 꽃이 아니라 봉오리가 막 피어날 즈음의

바로 그 순간의 동백이 바로 다화의 여왕

차는 그 준비부터가 시작이다. 단아한 찻잔이 사용되는 것도 하나의 규칙이 있다.

 

예술처럼 빚어진 만주들을 보고, 상상하며 입안에 침이 고인다. 하나의 음식이라기보다 또 하나의 조화.

배움이란 일생을 다해 자신의 성장을 깨달아가며, 자신을 성장시키는 것.

"긴 안목을 가지고 현재를 살아라"

<일기일회> 소중한 사람을 만나면 함께 먹고, 함께 살아가며, 단란함을 만끽하라

세상은 밝고 긍정적인 것만 가치가 있다고 여긴다.

하지만 애초에 반대가 존재하지 않으면 밝음도 존재하지 않는다. 빛과 어둠이 모두 존재할때 비로소

"깊이"가 태어난다.

좋아하는 것이야말로 잘 할수 있는 비결이다. 라고 이야기한다.

저자는 쉽지않은 데마에를 반복하며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몸에 배어가는 태도에 대해 이야기 한다.

다도의 복잡한 규칙에서 삶의 단순한 진리를 터득해 가는 과정을 보고 있으니 절로 차분해 진다.

영화를 보고나서 책을 읽으면 영화속 인물이 자꾸 오버랩되어 몰입이 안되기때문에 책을 읽고

영화를 볼 계획이었는데, 영화는 보지 않기로 했다. 책한권 읽는 동안 진한 차한잔 마신 느낌이었다고나 할까?

 

눈으로, 글로 마시는 진하게 우려낸 차한잔

26년간의 다도를 처음 접할때부터 오랜시간 나이들어가며 인생의 여러고비들에서 마주한 다도의 순간

저자의 그 시간들이 마치 내 삶의 한 면을 보여주는것 같은 장면들이 있어 더 공감했다.

소소한 삶의 에피소드는 다를지라도 어떤일을 꾸준히 오랫동안 한다는것.

그것이 무엇이라도 그 과정에서 우리는 많은 경험과 깨달음, 그리고 지혜들을 얻는것

나이들어 감에 대하여 많은 책들과 조언들이 있지만 그런 과정을 거치지 않고 거저 얻어지는 것은 없다.

 

진하게 우려낸 차한잔이 마치 삶의 오랜 내공처럼 다가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