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 - 전 세계가 열광한 빅히트 아이디어의 비밀
앨런 가넷 지음, 이경남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컨텐트를 제공하는 일을 오랫동안하다보니 여러가지 재미있는 경험들을 많이했다.

교구개발에 참여하고, 컨텐츠목록만으로 출판계약을 두권이나 하기도 했지만 그런 과정에서 하나의

컨텐트가 상용화되는데 따르는 복잡한 일들이 쉽지 않았음을 몸소 느꼈던터라 이 책에서 말하는 공식

들이 더 와닿았다.

창의적인 발상의 상용화에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재적소에 필요한 액션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크리에이티브 커브가 시사하는 히트하는 것들에 대한 공식을 알아본다.

타고난 재능과 전문가가 되기위한 창의성의 발현. 크리에이트브가 되기 위한 조건을 책에서는 크게

4가지 키워드로 정리하고 있다. 소비, 모방. 창의적 공동체, 반복.

사회적인 현상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조망할 수있는 능력은 이를 뒷받침하는 핵심키워드라고 할수 있겠다.

우리가 이런 책들을 읽는 이유또한 조금 더 객관적인 분석력을 갖기위한 방법이 아닐지.

 

어떤 영역에서 숙련된 전문가가 되기위해 1만시간의 법칙을 예로 들곤 하는데 연구결과들 중에는

경험한 빈도와 기술은 관계가 거의 없다는 연구결과도 있음을 시사한다.

어떤 기술의 최고수준에 오르기까지에는 멘탈모델이라고 하는 정신자세가 큰 몫을 차지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해마다 트랜트라는 키워드로 출간되는 책이 있다. 그만큼 이제는 새로운 유행의 흐름이 빠르게 급변하고

사회나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사람은 익숙한 것을 원하면서 그 속에도 또 색다른 개성을 추구한다.

색다르고 흔하지 않은 자극들을 찾아서 관심의 영역을 넓혀가는 것이다.

유행의 간극이 점차 좁혀지고, 꾸준히 지속되는 것들이 많지않음에 주목해야하는 이유이다.

우리가 타고난 영재 혹은 천재를 구분짓는 방법이 예전에는 그저 단순히 숫자적인 분석에 치우진 IQ에

기준하고 있었다면 이제는 그런것보다 그 이외의 요소들에 주목하는 시대로 바뀌고있고, 이미 많은

사람들이 성공의 열쇠를 그저 수치로 뽑는 아이큐가 전부가 아니라는것을 인지하고 있다.

그래서 창의성혹은 독창성등 개성있는 본인만의 강점들을 부각시키는 노력들을 하고있다. 그래서

등장하는 것이 스펙이라는 경험들을 꼽고있는데 이 또한 단순한 분야가 아니라 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책속에서 많은 성공신화를 이룬 사람들의 경험들을 소개하고 있기도하지만 어떤 방법도 정답이라고 할

수있는 것들이 아니다. 많은 시행착오를 포함한 다양한 경험들에서 우리스스로 방법을 축적해 나가며

한발 더 진전하는 계기가 되는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서 세상에는 거저 얻어지는 것이 없다. 그리고 완전한 실패도 없음을 깨닫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