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남의 눈치를 보았습니다 - 예민한 게 아니라 섬세한 나를 위한 심리 수업
미즈시마 히로코 지음, 박재현 옮김 / 샘터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의 출판계의 대세가 심리학 도서인건가? 마치 하나의 유행이 번지면 길에서 마주하는 사람들이

약속이라도 한듯 유행의 여파가 거세게 몰아치는 요즘의 현상들은 참 아이러니하다.

개성과 창의성을 운운하며 그 한편에서는 마치 유행에서 벗어나기라도하면  뭔가 잘못된 것 처럼

느껴지는 현상들. 심리학이라고 하는것도 바로 이런것들과 연관이 있는것 같다.

일본 대이관계 치료계의 1인자로 꼽힌다는 저자의 책.

남에게 어떻게 보일지 걱정하느라 정작 자기모습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것 아니냐는 이 책의 표제글을

읽으며 뭐가 중요한 것인지,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런것 때문에 고민을 하는지도 알게 된다.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에서 타인을 인식하지 않고 오직 내 안에서만 살아가는 것도 문제가 있지만

생각보다 사람들은 나 보다 어느 순간에는 타인의 시선에 더 민감해 지는것도 사실이다.

그런 현상들이 문제가 있는것이 아니라, 그런 원인때문에 트라우마가 생기고 스스로의 존재감에 대한

회의를 느낀다는 점에서 더 문제가 있는 것이리라.

간혹 오랫만에 등장하는 연예인들이 성형수술을 하고, 오히려 어색하고 다른 사람처럼 변신해서 등장

하는 장면들을 떠올려보면 과연 스스로에 대한 기준에서 만족도를 충족하며 살아가는 사람이 또 얼마나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진다.

객관적으로 타인이 보는 나와, 스스로 느끼는 나는 당연히 괴리감이 생길 수밖에 없다.

오죽하면 쇼윈도에 비유하는 외형적인 기준들이 언급하는 용어들이 생길까 하는 생각을 해보면 사람은 늘

실제와 보여지는 것에 대해 신경을 쓰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실패의 경험을 하고 난 후에도 회복탄력성이 높아서 제자리로 돌아오는 시간이

그리 오래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반면에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한번의 실패를 겪고나면 스스로의 트라우마를

만들어 또 그 안에서 허덕이게 되는 것이다.

타인의 평가는 단정과 강요라고 하는 보이지 않는 폭력의 한 평태라고 책에서는 표현을 하고 있다.

보이지 않는 폭력이라는 점에서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일상의 함정들이 있는 것이다.

트라우마의 내적인 증상들이 다양한 신체적인 병이나 일시적인 장애들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런 신호들은

임상적인 현상들보다 그 원인을 찾아 개선해야 한다는 우리몸이 보내오는 신호이기도 하다.


결국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평가대상으로 스스로 느끼고 움츠러들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느끼고 생각하는 주체로서의 당면하는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 얽매여 스스로 자책하거나 고민하기보다

고유한 내 영역의 중심으로 서는 것은 당연한 삶의 태도라는 것을 잊지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