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르지만 다르지 않습니다 - 장애인과 어우러져 살아야 하는 이유 ㅣ 아우름 32
류승연 지음 / 샘터사 / 2018년 10월
평점 :

장애인과 어우려져 살아야 하는 이유.
이 책의 부제이다. 저자는 쌍둥이 남매중 한 아이가 출산과정에서 사고로 발달장애를 갖게되고 나서
아이를 키우며 10년간의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장애아의 엄마로 세상에 전하는 말들을 담담하게 써
내려가고 있다.
"왜 거리에 장애인이 보이지 않을까요?"
"우리들의 시선이 그들을 거리에서 내 몰고 있기 때무입니다."
돌이켜생각해보면 우리는 관심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평소에 잘 인지하지 못하고 지난 것들이
꽤 많은것 같다. 그래서 인식의 발달, 혹은 관심의 대상에 대한 다양한 자극들을 통해 여러가지 다양한
시선을 갖고 살아가게 되는것 같다.
미술심리치료사로 발달장애아동들을 만나게 되는 경우가 생기면서 나도 이 책을 봤을때 조금 더
관심이 가게되기도했고, 또 이왕이면 조금 더 알고싶어지기도했다.
예고없이 그 아이들을 마주했을때, 아주 조금 성장이 느린 아이들의 모습들이 낯설기도했고, 살짝
두려운 마음도 생겼던 기억들이 떠올려졌다.
세상에는 혼자의 힘으로 할수 없는 일들이 참 많다.
혼자사는 1인가구들이 늘어가고, 혼공, 혼밥, 혼영, ...혼자서도 잘먹고 잘 사는듯한 뉘앙스로 비춰지는
일들이 많아지기도했지만 혼자서는 살아갈 수없는 세상이다.
아이가 조금만 아파도 부모는 속이 탄다.
내게는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고 외면하는 세상이 아니라 평범한 일상에서 조금 다른 모습으로
성장속도로 살아가는 사람들도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이길 저자는 글을 통해 전하고있다.
책을 읽다보니 비단 장애에 관한 부분만이 아니라 우리는 늘 일상에서 편견의 시선속에 많은것들을 판단하고
또 받아들이게 되는 일상을 살게된다.
저자는 장애도"라는 말로 장애인들이 어떤 시선속에 갇혀 살고있는 한정된 삶의 반경을 표현하고있는데
장애와 비장애를 떠나 누구나 자신들만의 견해속에 편견과 왜곡이 있기 마련일것이다.
뉴스에 종종 장애인 시설이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Not In My Back Yard(님비현상)이 일어나는 것도
이런 일들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론적인 이해와는 또 별개로 실생활에서 우리는 종종 여러가지 문제들을 마주하게 된다.
몰라서 안되는 일과, 알면서도 바로 해결이 되지 않는 문제들에 대해 개선의 의지를 실천하는것의 출발은
공론화와 작더라도 실질적인 움직임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최근 뉴스에서 이슈화되는 사건들속에는 정상인과 장애인의 구분에 대한 기준이 참 모호해진다.
가장 기본적인 인격수양이 부족한 이들이 거대조직의 수장으로 군림하고 있는 경우에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엽기행각이 일어나기도 하고 있으니 참 한심하기도하고, 장애가 궂이 신체적인 발달을 기준으로
판정이 되는것이 맞는것인지도 헷갈릴 정도이다.
어쨌튼, 우리의 삶은 점점 더 편리해지고 있는것이 사실이다. 그 과정에서 더불어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의 온기를 나누며 살아가는 여유를 가져보기를 개인적으로도 희망한다.
간혹 너무나도 각박한 시선을 장착한 이들과 마주하는 순간의 싸늘함에 오히려 연민을 느끼게 되는 순간들.
차가워지는 날씨에 마음의 온기만은 잃지 않는 삶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