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에게 (반양장) -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미움받을 용기1.2>에서 아들러의 가르침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했던 저자 이치로의 자전에세이.
건강상의 위기를 겪으며 인생과 삶에 대한 단상들을 풀어놓았다.
책 제목 <마흔에게> 누군가는 뭔가 인생의 전환점이 되는 나이라고 하고, 누군가는 삶의 성취를 미약하
게나마 확인하는 나이라고 하지만 내 개인적인 느낌은 이 책의 제목을 보는순간.
그래도 참 젊으나이라는 생각이 먼저 드는 걸 보니 나도 나이들었구나;;
막연한 나이의 숫자만큼이나 매 삶의 순간들은 겪어보지 않으면 절대로 그 느낌을 알 수 없다.
그래서 어떤 완벽한 조언이나 충고도 스스로가 느껴야만 하는 것이 바로 나이들어감과 인생의 자연스러
운 현상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아들러의 심리학을 소개했던 <미움받을 용기>와는 장르의 결이 다른 책이라 전혀 다른느낌으로 이 책
을 읽었다. 인생에서 개인적인 경험은 삶을 보는 태도를 다르게 만들기도 하고, 저자 개인의 경험들이
많이 담겨있다. 어린시절에는 인생의 미래를 예상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나이가 들어가며 과거를
돌아보게 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친구와 간혹 농담삼아 과거의 어느 한 순간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언제로 가고싶느냐는 이야기를 했던적이 있다. 물론 실현불가능한 일이지만 나는 다시 돌아가는 일이
선뜻 내키지 않는다고 했다. 아쉽게도 지난 날들에서 순간의 섣부른 판단으로 후외되는 결정을 한 경우
도 있지만 그래도 매 순간 최선을 다하며 살아왔다는 생각을 했다.
나이들어 감에따라 생기는 연륜의 시선들이 나쁘지 않고, 자연스럽게 때로는 막연하고, 때로운 느긋해
할 수있는 여유가 좋다.
책속에서 공감이 갔던 부분은 나이들어감에 따라 위가 아니라 앞으로 향해 산다는것. 그말이 참 적절한
표현인듯하다.
불과 몇년전 만해도 아이를 키우는 일. 참 자신만만했던 시기가 있다.
아이가 커가면서 예전에 누군가가 했던 말들이 자꾸만 귀솟을 맴돈다. 아이가 커갈수록 점점 더 걱정이
많아진다고 했다. 그때는 공감되지 못했던 말이 점점 떠올려지는 걸보면 역시나 세상에 쉬운일은 정말
하나도 없다는 생각도 해본다. 내 삶의 연장선이 아니라, 아이의 인생은 고스란히 아이의 몫으로 남겨
둬야 하는 여유도 필요하다. 부모는 단지 아이가 자라는 것을 옆에서 지원하고 환경을 마련해 주는것
이라는 것에 공감하며, 또 한번 나의 삶을 돌아본다. 막연한 미래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아이의 오늘을
각박하게 하지는 말아야겠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책속에서 人間이라는 단어를 '사람사이의 관계'라고 표현한다.
사람사이의 관계에서 타산지석을 통해 배움을 얻게되고, 그 안에서 행복도 , 껄끄러움도 느낀다.
나이들어감에 따라 세상을 보는 눈 만큼이나 사람을 보는 눈도 넓어지는것이 좋다.
많은 사람과의 관계보다 마음 통하는 몇사람과의 교류가 좋은 나는 그렇게 내 삶의 매 순간들도
차곡차곡 다져가며 살고싶다.
저자는 나이든 사람의 사명을
경험한 것, 그리고 '지금 여기'에 있는 행복을, 혹은 뭔가를 다음세대에게 건네주고, 전하는것,
그것이 진정 나이들어가며 맛보는 행복이 아니겠냐고 반문하며 이야기를 마무리한다.
"무엇이 주어졌느냐가 아니라 주어진 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중요하다."
성공이 인생의 최종 목표가 아니라 단지 과정일 뿐이라는것, 누군가를 위해서가 아니라 나 스스로
지금 이순간의 행복이 가장 중요한 점 임을 잊지 말자. 오죽하면 행복바이러스라고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