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속 외딴 성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서혜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8월
평점 :
품절


2018년 서점대상 수상작이라는 타이틀 이외의 여러수상이력이 이 책의 표지에 빼곡하다. 워낙 많은

서점 어워드들이 있으니 별 감흥을 일으키는 항목은 아니지만, 이 책의 마지막 책장을 넘기며 올해의

책 한권을 꼽는다면 주저없이 이 책을 꼽게 될 것같다.

등장 인물은 학교가 두려운 아이들이다.  거울속 세상을 통해 소통의 과정을 배워가는 모습에서, 2017년

크지슈토프 보디츠코 전시에서 해설했던 Dis-Armor라는 작품이 내내 생각났다.
이소설의 배경도 일본이고 Dis-Armor(2000년 作)도  크지슈토프 보디츠코 작가가 일본의 등교거부 학생을

비롯한  학생들이 스스로 말하고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극복하게 하기위한 보조기구였다.
삶 속에서 충격적인 사건을 겪은 학생들이 사람들과  직접 눈을 마주치고 말하기 힘들어 하기때문에

간접적으로 매개를 통해 소통하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실제로 이 기구를 이용했던 등교거부 학생은 후에 일본에서 정신과의사가 되었다.

 

책속 스토리는 일본의 1년 교과과정이 진행되는 1년을 3학기로 구분한 단순한 구조를 스토리의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어느날 우연히 방안에 있던 거울을 들여다 보던 주인공은 마치 마술처럼 거울속의 세상으

로 빨려들어간다. 이 부분에서 옷장속으로 들어가며 새로운 세상을 접하게 되는 나니아 연대기를 떠올리

게 했다. 완벽한 구원과 위로의 소설이라는 표제어가 처음 도입부에서는 별 기대를 주지 않았던 대목이다.

일단 이 책의 페이지수는 과히 600페이지를 넘어가는 만만치 않은 길이의 소설이다.

판타지라는 장르가 생각보다 신선하지 않았기도 했고, 등교거부 학생들의 어떤 탈출기쯤으로 예상하고

시작했지만 책을 읽으며 몰입도가 높아져서 읽는내내 책을 놓을수가 없었다. 

흥미진진해지는  판타지의 설정은 과학이론 중 평행이론 Parallel Life 에 빚대어 더 넓은 상상의 나래를

펼친다. 서로가 서로를 알아가는 이들은 표면적으로는 경쟁의 구도에 놓이게 되지만 의외로 이들은

그간 등교거부를 불사할 만큼 어려웠던 관계에 비해 오히려 수월하게 인물들에게 접근해나가며 관계에

대한 습득을 배워나가기 시작한다.

이들을 거울속 외딴성으로 불러들인 늑대가면을 쓴 등장인물은 이들의 관계속에서 별다른 목소리를 내지

않는다. 하나하나 풀려가는 실타래같은 스토리속에서 이들은 거울속 외딴성에서 주어진 미션을 수행하며

그 미션의 핵심을 풀어나가려고 노력을 한다. 또래의 아이를 키우는 엄마의 입장에서 이들의 모습은

때로는 대견하고, 때로는 마음한켠이 더 찡하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일본이나. 우리나라의 청소년기 아이들은 과연 옆을 볼 여유나 있는 생활을 하고

있는것인지 늘 안스럽고, 심지어 성숙한 어른이 되기도 전에 너무 큰 짐을 지고 있다는 생각을 떨칠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계의 방법을 배워가는 아이들.

그리 특별하지 않게 이야기가 마무리 되나보다 생각하며 몇장 남지않은 책장을 넘기다,,,,,,대 반전. ㅠ

그야말로 눈물샘 자극하는 극적인 결말에 너무 당황스러웠다. 이 부분에서 이야기의 흐름속 설정은 책속

동화책 한권도 결론의 복선을 깔고 있음을 알고 과연 서점대상다운 치밀함을 느낀다.

근간에 읽었던 책, 혹은 영화를 통틀어 이렇게 감정폭발을 일으킨 작품은 없었던 것 같다.

"힘내서 어른이 되어줘" 

글을쓰는 작가와 한 예술가 그리고 어른인 우리모두가
세상의 모든 청소년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이보다 더 진심어린 표현이 있을까? 세상의 중심으로 나서는 너희들을 응원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