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속엔 조그만 사랑이 반짝이누나
나태주 엮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

풀꽃이라는 시로 잘 알려진 시인 나태주가 엮은 시들과 편역한 허난설헌의 시

 

드라마를 거의 안보니 미스터선샤인은 몰라도 나태주 시인이 엮은 시라는것과 시인의 편역으로 읽는

허난설헌의 시라는 점 만으로도 기대가 가득했다.

읽고 쓰는 시집 두권, 그중에서 나태주 시인이 직접 고른 106편의 시를 먼저 만나본다.

책의 제목은 나태주 시인의 수록 詩중 <사람이 그리운 밤>에서 차용되었다.

 

사람이 사람이 그리운 밤엔 편지를 쓰자

멀리 있어서 그리운 사람, 잊혀졌기에 새로운 사람

하늘엔 작은 별이 빛나고, 가슴속엔 조그만 사랑이 반짝이누나

사람이 사람이 그리운 밤엔 촛불을 밝히자

 

수록된 시들중 더 와닿았고, 친근했던 시들의 대부분은 학창시절에 엽서 시화로 접했던 시들이다.

신기하게도 익숙하고 친근했던 그 시는 그때와는 또 다른 감성으로 내게 다가온다.

지금처럼 스마트기기가 없던 그날의 아날로그 감성이 지금 돌아봐도 참 정겹고 따뜻하다.

교과서에서 학습으로 접했던 시들은  시가 담고 있는 그 의미를 분해하고, 달콤한 사랑의 대상이

사람이 아닌 은유를 담고있는 시라는 사실을 접했을때 살짝 서운했던 그날의 내 소녀시절 감성도

또오른다. 유난히 더웠던 날들을 보내고 이제 문득 느껴지는 바람이 가을임을 실감케한다.

그래서 더 시가 참 좋은 계절이다.

 

표현에 대한 요구가 많아진 시대라, 떠들썩하고 솔깃한 언어들이 익숙한 시대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가 주는 언어의 함축적 의미들은 각자의 마음속에 저마다의 감동과 여운을 남긴다.

시가 주는 정서가 좋은 이유.

 

나태주 시인이 편역한 또 다른 한권의 시집

허난설헌의 시도 이 책에 담겼다. 이 한권이 읽으면서 쓰고싶은 시들 차근차근 적어나가는 컨셉북이라면

허난설헌 시집은 곱디고운 삽화들과 어우러진다.

이 가을을 함께 할 시의 언어들.

 

곱디고운 시언어는 때로는 노래가사로도 이어진다. 시보다 노래로 더 잘알려져서 세대를 아우르는

김광섭 시인의 <저녁에>라는 시는 읽으면서 저절로 귓가에 노래가 울려퍼진다.

가을이라서인가? 이형기 시인의 <낙화>라는 시가 참 좋다.

가야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봄 한철 격정을 인내한 나의 사랑은 지고 있다

분분한 낙화...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지금은 가야할 때

무성한 녹음과 그리고 머지않아 열매 맺는 가을을 향하여

나의 청춘은 꽃답게 죽는다 (후략)

 

시인의 감성을 따라 시와 함께 하는 가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