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부터 할 말은 좀 하겠습니다 - 예의 바르게 한 방 먹이는 법
유우키 유우 지음, 오민혜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8월
평점 :

요즘 '고답'이라는 말이 흔히 언급된다. 고구마를 먹은것 처럼 답답한 상황을 그렇게 표현한다고 하는데
이 책의 부제는 <예의 바르게 한 방 먹이는 법>이라는 관계에 관한 사례들을 소개한다.
대부분의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토로하는 부분들은 업무적인 난이도보다 인간관계의 소통에 관한
문제들이 대부분임을 알수 있다.
점점 개인중심의 혼족문화가 확산되는 요즘엔 더욱 심각해지는 문제들인것 같다.
그래서 더 그런 관계에 관한 조언을 하는 책들이 눈에 많이 띈다.
저자는 정신과의사로 유명한 심리 실험과 임상사례를 추적하여 대화의 기술이나, 상황에 따른 대처법
등을 책속에서 소개한다.
타인과의 대화나 상황에서 우리는 종종 난처한 순간들을 마주할때 당황하기 쉽고, 순간적인 감정에
휩쓸려 어리석은 언행이나 행동들을 경험하게 된다.
불합리한 순간들을 참고 넘어가기만 하기엔 정신건강에 해롭다는 여러 실험들에서 드러나고 있는데
100세시대에 신체건강의 기본은 정신건강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래.서 이왕이면 조금 더 합리적으로 상황들에 대한 대처법들에 귀를 기울이게 된다.
오른쪽 뺨을 때리는 사람에게 왼쪽뺨을 내미는 시대는 지났다. 인내는 불합리한 것들까지 다 참아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생각해보게 한다. 가만히 있으면 가마니로 본다라는 말은 우스개 소리가 아니라
사람의 심리 이면에 깔린 자연스러운 습성에 대한 반격을 합리적으로 제시한다.
어느정도의 자신의 목소리를 낼 줄 알고, 순간적인 감정에 휘말려 이성을 잃는 행동도 조심해야 한다.
재미있는 것은 다수결의 원칙처럼 우리는 대다수의 의견에 휩쓸리는 경향이 있다. 분명히 아니었는데
대다수의 사람들이 선호하는 방향은 진리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사례제시는 간과하기 쉬운 일상의
실수들을 만들어 내는 경우이다. 대인관계에서 칭찬을 하는 방식이나, 반격을 가하는 방식이 생각보다
다르지 않음도 놀랍다. 상대방의 이야기에 경청하며, 적절하게 선을 지키며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기.
이론처럼 쉽지 않은 것이 함정이긴 하지만 늘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다.
한 가정이 화목하려면 엄마가 행복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사람은 자신의 시선에서 세상을 보기 마련이고
마음의 평화가 전제되지 않으면 온통 부정적으로 보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사람의 얼굴은 나이가 들어가며 그 사람의 삶을 반영한다고 하는 말이 있다. 그만큼 심리가 인상을 좌우
하는 연관성을 보게한다. 소소한 성공의 경험이 커다란 성취를 이끌어 내는 것처럼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습관처럼 마주하게 되는 여러 상황들이 생긴다.
무조건 참고 넘어가는 소극적인 태도보다 내 삶의 중심에서 나를 잃지 않는 현명한 방법들을 통해,
배워나가는 것도 훈련이 필요하다. 웃으면서 화내는 법"이라는 어떤 책 제목이 떠올려지는 상황들.
올해들어서는 미투운동이 확산되어 많은 사람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그런 현상들이 이제 낯설지
않은 시대가 되었다.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라는 어떤 CM송의 한 대목을 이제는 다시 생각해 볼때이다.
나는 소중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