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이 걸어도 나 혼자
데라치 하루나 지음, 이소담 옮김 / 다산북스 / 2018년 8월
평점 :

잔잔하지만 묵직한 삶의 모습을 다룬 소설이다. 유미코와 카에데라는 전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
가는 두 여성의 관점을 오가며 삶에 대한 여러상황들을 그리고 있는데 결국은 함께 떠난 여행길에서
그 둘은 또 다른 인생의 관점을 장착하게 되는 의미있는 시간을 보낸다.
막연히 어릴때는 어른이 되는 것이 나이를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누구나 가게되는 인생의 한 여정이라고
생각했던 시기가 있었던것 같다. 무심한듯 독백처럼 두 주인공과 그 주변의 사람들과의 관계속에서
오히려 이 책은 꽤 큰 그림을 보여준다. 하나의 사건이 중심이 아니라 인생에서 기준이 되는 것들.
그리고 어른으로서 삶에 대해 큰 질문을 던진다.
두 주인공의 글은 스스로에게 하는 말이기도 하고,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 같기도 하다.
인간의 생각은 단순히 정리되는 것이 아니니 오히려 엉망진창이 기본 설정인지도 모른다고 했다가.

간혹 여러장면들에서는 마음약한 사람심리의 단면들을 은유적으로 제시하기도 한다.
어른이 되면 하고싶은 대로 자기위주의 결정들을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던 순간들이 떠오른다.
어쩌면 어른이 되는 것은 많은 순간에 자기위주의 결정을 할 수 없어지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유미코의 시선중, 우리는 서로 말해야 할 것을 말하지 않고, 말하지 않아야 할 것들만 말하고 있는것이
아닌가?하는 반문에도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친구의 SNS를 들여다보며 친구의 행복한 일상이 오히려 주인공의 마음을 심난하게 하는 장면들,
너무나도 가벼운 인간관계를 맺고 사는것처럼 보이는 카에데를 보는 시선등. 표면적으로 전혀 다른
두 사람의 즉흥적인 여행, 그것도 사라진 남편을 찾고자 떠나는 여정...삶의 복잡미묘한 모순을 모두
담고있는것 처럼 보이기도 한다.
어른이 하는 말이 다 옳다고 생각하면 안돼.
어른이라고 항상 옳은 말만 하는건 아니니까. 근거없는 편견에 사로잡혀 이상한 생각을 하고,
얼토당토 않은 감정을 느끼는 사람들이라고 완벽한 어른이라는 자만심에 빠져있는 우리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한편의 소설이었다.
사람은 혼자있을때보다 둘이 있을때 외로움을 느끼는 존재라고 한다. 곁을 내어줄 따뜻한 온기를 나눌
여유가 없어지는 것이 오히려 각박해지는 어른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그래서 절망을
느낄수 있는 위기의 순간 기적처럼 온기를 나눌 누군가를 만나게 되는것.
그런 것이 인생이라는 거창한 명사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