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뢰가 전부다 -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김대영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6월
평점 :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에서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는 요즘이다. 갑질하는 기업의 오너,
미투운동으로 확산된 여러 유명인들의 사회적인 추락등등,
하루가 멀다하게 들려오는 소식들은 상식을 초월하는 단계에 까지 이르고 있다.
이제는 사람의 겉모습만 보고는 절대로 그 사람을 알수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진정성을 담고 있는 평판관리.
그 안에는 신뢰와 믿음이 전제로 되어 있어야 한다.
좋은 평판을 갖기 위해서는 오랜시간 노력을 해야하지만, 그 신뢰가 무너지고 평판이 추락하고 나면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가 더 많기도 하다.

법륜스님이 어떤 고민 상담자에게 해주었다는 사이다 같은 이야기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지치기 쉬운 여러
상황들을 떠올리게 한다. 매 순간 상처받고, 매순간 상심하게 되는 일상의 경우들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자세를
생각하게도 한다.
사람과의 관계에서 위기관리 능력, 그리고 자신의 평판에 대한 고찰 등 기본적이지만 일상에서 가장 중요한
여러 상황별 대처법들에 대해 객관적인 점검에 들어가보자.
관계 중시형 VS 업무 중시형.
사회생활에서 각자가 중요시하는 여러가지 기준에 따라 사람의 행동패턴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주변의 가까운
사람들의 모습속에서 내 모습을 돌아보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인간관계에서도 그만큼의 빛을 발하는지 우리는 너무나도 많은 사례들을 통해 느끼고
경험해 왔다.
너무 일상적이라서, 혹은 너무나도 확신에 차서 스스로의 일상에 소홀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혹은 바쁜 일상에
치여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이 너무 부족한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한다.
일등이 일류는 아니라는 사실은 우리가 쉽게 혼동하기 쉬운 진실이기도 하다. 지금은 얼굴을 마주하는 관계가
아니어도 늘상 디지털상의 교류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하루 24시간 꼬박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 여러 관계들
속에서 더 신경써야 하는 일들도 많아질 수밖에 없다.
소통의 세상에서 유행에 편승하는것이 아니라 자신의 성장곡선에 대한 점검이 늘 필요한 이유이다.
늘 부산하게 나아가고 있지만 어느순간 스스로도 자신의 방향에 대한 정체성을 잃고 혼란스러운 순간이 오기
때문이다. 책속에서는 태동기< 성장기<성숙기<쇠퇴기로 구분하고 있지만 사회가 변해가는 만큼 우리의
정체성에 대한 점검도 변화가 필요하다.
관계속에서 남이 나를 좋아하도록 하는것 보다 싫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들 한다.
초반에 한번 굳어진 평판은 회복하기가 쉽지않기에 자기가치를 높이는 평판에 대한 자신만의 방법이나 기준을
세워놓으면 좋을것 같다. 개인의 평판관리에서 더 나아가 우리가 요즘 많이 의존하는 여러 정보들중에는
디지털 평판이라고 하는 정보들이 있다. 이런 정보들은 한번 세상에 공개되고 나면 변경이나 삭제가 어려워서
오랫동안 여파를 미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사소한 실수를 통해 두고두고 후회될 만한 섣부른 행동에도
주의 해야한다.

"내 앞머리가 무성한 것은 사람들이 나를 쉽게 붙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뒷머리가 대머리인 것은 한번
지나가면 다시 잡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다. 어깨와 발에 날개가 달린 것은 빨리 사라지기 위해서다....내
이름은 카이로스 바로 "기회"다."
삶에는 무수한 기회들이 있지만 기회가 왔을때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얼마나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느냐는
평소의 삶의 자세나 관계들을 잘 관리했을 때 비로소 더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다.
교육 심리학자들은 사람의 능력을 세분화해서 챙겨야 한다고 소개한다. 지력과 심력 그리고 체력까지를 포함
시킨 복합적인 의미인데 우리는 대부분 지능지수(IQ)만으로 사람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는
이유이다. 책에서 소개한 대로 한 사람의 평판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신뢰와 믿음을 통해 서로 소통을 하는
과정에서 좋은 에너지를 발산하고 서로에게 좋은 관계로 남는것이다.
한 인간에게서 모든 것을 뺴앗아 갈 순 있지만, 한가지 자유는 뻇을 수 없는데 어떤 상황에서도 본인의 삶에
대한 태도를 정하는 자유다. < 빅터 프랭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