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검다리 - 어느 난민 가족의 여행 철학하는 아이 10
마그리트 루어스 지음, 이상희 옮김, 니자르 알리 바드르 사진, 정우성 해설 / 이마주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날 눈에 띄는 그림책소개글이 눈에 들어왔다. 지금은 우리나라도 입국하고자 하는 난민들에 대한 처우를

당면하고 있는 실정이라  더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8년째 이어져 오고 있는 시리아난민의 비극을  이렇게 돌맹이 그림으로 표현하여 소개한 사람은

니자르 알리 바드르라고 하는 사람이다. 그도 역시 시리아 사람이다.

너무 가난해서 돌맹이 그림을 그리고 고정시킬 접착제를 살 돈도 없을 만큼 형편이 어려웠던 그는 이 그림들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려서 소개했고, 그 그림을 발견한  한사람의 노력끝이 이들의 만남을 성사되었고,

이렇게 니자르의 돌맹이 그림을 통해 시리아 난민들의 생활을  담은 책으로 출간 되었다.
평화로운 일상을 살았던 이들에게 전쟁은 일상의 사소한 일들마저 자유롭지 못한 날들이 펼쳐진다.

 

일상의 모든 일들이 멈춰지고, 조금이라도 나은 미래를 위해 이들은 각자의 터전을 버리고 길을 떠난다.

무거운 자갈돌 그림이 이들의 짐을 더욱 무겁게 보이도록 만드는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

 

조금씩 떠나가던 피난민의 행렬은 폭탄이 떨어지기 시작하며 더욱  이들을 위기의 공간으로 내 몰아가는

상황으로 만든다. 바탕색의 검은빛이 암담한 이들의 미래를 암시하고 있는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는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희생을 당하고, 세계는 이들의 움직임을 위태롭게 바라보고,

주시하게 된다.

니자르의 조약돌 그림은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많은 것들을 알게하고,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한다.

 

한사람의 작은 시도가 세계인의 마음속에 불씨하나를 전달해 주는 계기가 되었다고도 할수 있겠다.

6월에는 세계 난민의 날이 있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의.식.주마저 보장 되지 못하는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이들을 보며 우리는 지구촌이라는 말을 떳떳하게 할 수 있는 걸까?

니자르의 작품들속  조약돌이 이들을 향한 관심과 미래의 희망을 나눌 수 있는 하나의 징검다리가 되길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