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 이름은
조남주 지음 / 다산책방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82년생 김지영>이란 책으로 한창 이슈가 되었던 조남주작가의 소설.

그간에 다큐멘터리로도 다루어졌고, 미투( me too)운동이 봇물처럼 일어나기도 했고, 페미니즘운동이 꾸준히

이슈화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82년생 김지영>뿐 아니라 또다른 그녀들이 등장한다.

시작은 한발짝 물러서서 이책의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는데 점점 몰입되어 가는걸 문득문득 깨닫는다.

장황하지 않고, 하나의 단편적인 이야기를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등장하여 얘기하고 있는데 이상하게도

마음한켠이 불편하고 찡하다.

사실은 다른 할일이 있어서 책을 볼 여유가 없었는데 앉은자리에서 다 읽어버렸다.

이른아침 커피한잔이 문득 이 책같다는 생각이 든다.

 

"안해야 하는 말을 안하는 사람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할 말을 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책속문구는

짧지만 이 책의 모든걸 다 말하는 문장같기도 하다.

나하나 변한다고 뭐가 달라지겠냐 싶지만 생각보다 사소한 일은 가끔 큰 반향을 일으키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 

나이가 들어가고, 경험이 쌓이며 달라지는건 공감할 수 있는 상황이 많아진다는거다.

유치하게, 혹은 눈살찌푸리게 하는 사람도 그냥 웃으며 넘기게 되는 여유가 생기는 거다.

급식소에서 일하는 여성의 에피소드를 읽으며, 문득 내 아이에게 만큼 다른 사람의 아이도 대할 수 있으면

세상이 지금보다 훨씬 따뜻해 지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근데 그게 참 어려운거다.

가끔은 아는 사람이 더 야속할때가 있고, 또 나도 그런 옹졸한 마음을 갖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까.

그래서 사람관계가 어렵다는 거다.

​ 

오랫동안 내가 애정을 갖고하던 일과 관련해서 공부를 하고 있는 중이다.

이론적인 공부로 끝나는것이 아니라서 사실은 참 중요한 부분이었는데, 여러 실습단계에서 마주하는 상황에

참 힘들고 어려웠다.  이 책을 읽으며 그 수업과 참 많이 닮아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뭔가 심장이 두근거리는 일은 좋은 일일수도 있고, 두려운 일 일수도 있다. 좋은것과 나쁜것은 또 많이 닮아있다.

다양한 연령대의 다양한 분야의 여성들의 이야기는 나의 과거, 현재. 미래를 생각하게 한다.

 

순식간에 세상이 달라지고 변화할 수는 없지만 누군가 움직이고, 시도하면 조금씩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그 누군가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같이 움직이는 것이 자연스러운 세상으로 변해가는 과정이길 이 책의

마지막장을 덮으며 생각해 본다.

 

 

 내가 읽은 <82년생 김지영>

http://yeonv6.blog.me/2210807565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