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종이에다 나의 열등감을 모두 적는다.
적과 싸우려면 적의 정체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나의 열등감은 무엇인지를 정확히 직시할 필요가 있다. 어떤 종류의 열등감인지, 어떤 상황에서 열등감을 심하게 느끼는지 육하원칙에 입각해서 적는다. -162쪽
둘, 열등감이 싹튼 원인을 찾아본다.
열등감을 처음 느끼기 시작했을 때를 찾아보고 그 원인이 환경적인 이유, 신체적인 이유, 심리적인 이유 때문인지 복합적인 이유 때문인지 분석한다. 그런 다음 내가 열등감을 느끼는 게 타장한지 다각도로 검토해 본다. -162쪽
셋, 나와 비슷한 열등감을 극복한 사례나 모델을 찾는다.
불가피한 결점이라면 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여라. 그런 다음 나와 같은 열등감을 지녔으나 이를 멋지게 극복해서 롤 모델로 삼을 만한 사람들을 찾는다. 똑같은 열등감이 없는 경우에는 비슷한 열등감을 극복한 롤 모델을 통해서 극복 방안을 찾는다. -162쪽
넷,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계획은 거창해도 좋다. 장기.중기.단기 계획으로 세우되, 단기 계획은 반드시 실천 가능하게끔 세운다. 이때 열등감에서 눈을 떼고, 내가 좋아하고 잘하는 것을 더 잘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162쪽
다섯, 변화에 성공한 나의 모습을 꿈꾸며 실천에 옮긴다.
성공한 나의 모습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기쁨이 샘솟고, 나에 대한 자긍심이 높아진다. 단기 계획을 행동에 옮기게 되면 열등감은 점차 약해지고, 실천을 통해서 만족과 성취감을 느끼게 되면 열등감은 소멸한다. -162쪽
하나, 살면서 꼭 해야 할 일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인생은 시간이 한정되어 있는 여행이다. 순서를 정해 놓지 않고 닥치는 대로 살다 보면 그다지 소중하지도 않은 일들을 하며 인생을 소진하게 된다. 후회 없는 삶을 살려면 우선순위를 정한 뒤, 시간을 적절하게 분배할 필요가 있다. -181쪽
둘, 목표를 정확히 설정한다.
인생에서 꼭 이루고 싶은 일은 장기 목표를 세워야 한다. 그런 다음 중.단기 목표를 세우되, 단기 목표는 능력의 90%이상을 발휘하면 실천 가능한 것으로 설정하라. 목표에 대한 강박감과 적당한 난이도는 집중력을 높여 준다. -181쪽
셋, 불필요한 호기심을 줄인다.
지식정보화 시대에서 경계해야 하는 것 중 하나는 쓸데없는 호기심이다. 소중한 나의 시간을 지키려면 호기심을 자극하는 불필요한 정보를 외면해야만 한다. 휴대전화, 인터넷, 텔레비전만 멀리 해도 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다. -181쪽
넷, 강점을 키우는 데 시간을 집중 투자한다.
남들보다 한 가지만 잘해도 세상을 살아나가는 데 부족함이 없다.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시간을 집중 투자하는 것보다는 강점을 키우는 데 시간을 집중 투자하는게 현명한 전략이다. 현대는 팔방미인보다는 한 가지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가가 우대받는다. -181쪽
다섯, 시간 일지를 쓴다.
시간을 발이 빠르다. 잠시만 한눈팔면 멀찍이 달아나 버린다. 시간 일지를 쓰면 달아나는 시간의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또한, 같은 하루라 할지라도 시간 일지를 쓰지 않을 때보다 많은 일들을 해낼 수 있으며, 내가 원하는 곳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81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