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랑일까 -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공경희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씨 이 분 사랑에 대해 너무 많이 안다.

그의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독자의 무릎을 치게 만드는 연애박사란 감이 오면서 과연 스스로는 어떤 사랑을 하고 있을지 무척 궁금하다.

그의 책을 읽고나서 그에게 다가서는 여인은 등에 식은땀이 졸졸 흐르지 않을까.

내 눈빛 한 조각에서도 심리학적 의제를 발견하고 내가 말하는 모습과 내용을 바탕으로 철학사를 훑어내리며 서너번 정도 만나고 나면 언제쯤 쫑이 날 것인지도 미루어 짐작 가능할지 모르니까.

사랑의 낭만성과 합리성을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남자, 이상과 현실을 총체적으로 이해한 후 바람직한 결과까지 도출할 수 있는 남자는 무진장 매력적인데다 존경스럽겠지만 그만큼 드물고도 순간, 공포스럽지 않은가.

이 책의 줄거리는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만큼이나 단순하다.

엘리스란 여자가 에릭이란 남자를 만나서 연애를 하다가 헤어지고 필립이란 남자를 새로 만나서 사랑을 시작하게 되는 이야기다.

단순한 줄거리에 비해 보통씨 연애소설의 백미는 역시 연애 당사자들의 개성과 그들의 심리구조다.

몽상가인 엘리스는 사회적 의무를 함께 수행하는 동지로써의 남자(제인의 남자친구인 존), 미남인데다 능력있어 누군가에게 보여주기에 번듯한 애인으로써의 남자(에릭)들에게서는 늘 이건 아니지 싶은 공허감을 느낀다.

엘리스의 눈에 비친 존은 성실하고 믿음직한 동지로써의 배우자이긴 해도 어딘가 로맨틱함과 섹시함이 부족하고,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고등한 의지력에 비해 스스로에 대해서나 타인에 대해서 하등한 이해력을 지닌 에릭 또한 경박하고 답답해 보였을 것이다.

내가 잘 아는 커플이 한 쌍 있는데 남자 쪽이 에릭과 다소 비슷하다.

여자의 입에서 나오는 '심심해, 외로워, 우울해'란 세 마디 말을 가장 혐오하는 부류의 남자.

이렇게 시시각각 바쁘게 돌아가는 세상에 심심하고 외롭고 거기다 우울하기까지 할 틈이 어디 있냐고 버럭 호통을 치는 남자.  (ㅋㅋ~)

사회적인 관계 내에서는 똑똑하고 사람 좋다는 평을 듣지만 가까운 사람의 속내를 읽어주고 로맨틱한 무드를 잡는 데에는 영 젬병인.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그 남자는 엘리스같은 여자와 엮이지 않았다.

그 남자의 그녀는 어디서든 등만 대면 코를 골만큼 수더분하며 목표를 하나 정하면 치밀하게 밀고 나가는 남자에게서 한껏 존경을 느끼는 현실감 만땅인 사람이다.

엘리스는 에릭과 헤어지길 잘했고 필립과 잘 어울린다.

그녀에게는 영혼이 있다고 말하는, 그런 이유에서 그녀를 사랑하게 된 사람이라면, 독자 입장에서 얼마나 안심을 하며 책장을 덮을 것인지 영리한 보통씨는 이미 헤아리고 있었던 것일까.

전형적인 케릭터를 가지고 열연을 펼치는 인물들을 보면서 또 다시 무릎을 탁, 치는 유쾌하고도 만족스런 공감을 했지만 여전히 미진한 질문은 남는다.

그래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듯 도식적이란 말인가. 사랑은 공식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