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목 박완서 소설전집 10
박완서 지음 / 세계사 / 2002년 7월
평점 :
품절


  핍진한 소설을 찾고 있었다. 왜 갑자기 <나목>이 떠올랐을까. 사춘기 무렵에 이미 읽었는데 문득 다시 읽고 싶어졌다. 박완서 할머니는 올해도 한권의 에세이집을 세상에 내놓았는데 그 책에는 관심이 가지 않고 <나목>을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6.25로 두 오빠를 잃은 뒤 성치 않은 어머니를 부양하며 미군 PX 초상화부에서 일하는 이경. 전쟁의 상흔과 청춘의 열망 사이에서 방황하던 그녀 앞에 나타난 환쟁이 옥희도 씨. 외롭고 상처 받은 이경에겐 사랑할 대상이 필요했고 옥희도 씨에겐 자신이 예술가로서 살아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줄 생생한 대상이 필요했다. 그렇듯 절묘하고도 절박한 지점에 만난 두 사람. 자연히 사랑을 하지만 옥희도 씨의 말처럼 그는 그저 질식할 것 같은 회색빛 생활에서 경아라는 신기루에 정신을 판 것이고, 경아는 옥희도 씨를 통해 아버지와 오빠를 환상하고 있었던 것 뿐. 헐벗은 나목의 계절, 시정의 논리로 인정할 수는 없지만 인간으로서 이해할 수 있는 인연이었다.   

  마흔 살, 다소 늦은 나이의 등단이었지만 일명 '복수의 글쓰기'라 명명되는 리얼리스트적 사명으로 박완서 할머니는 그간 참으로 숱한 작품을 써왔다. 흔히 번복되는 소재인 6.25를 비롯하여 중산층의 삶과 속내, 중년에서 노년에 이르는 세월 속에 드러나는 개인의 문제 등, 특유의 차지고 맛깔스런 글발로 남녀노소를 아울러 여러 독자들을 사로잡았다. 또한 천의무봉의 글솜씨라는 평이 있을만큼 매번 빈틈없는 글쓰기, 작품의 똑고른 질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내겐 처음이나 지금이나 이 작품이 가장 아름답다.  

  본격적인 생활인이 되기 전, 꾸밀래야 꾸밈없는 달뜬 목소리가 면면히 들려서일까. 옥희도 씨가 자신을 바라보게 하기 위해 물구나무 서기를 하며 온 화실을 돌아다니고 싶어하는 이경을, 하지만 결코 그럴 수는 없는 이경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스스로를 완전히 발가벗기고 깨뜨리고 싶지만 끝내 그래서는 안 된다고 절규하는 이경을, 청춘 언저리의 그 두 가지 얼굴을 나도 마주한 적이 있다. 어제의 망령과 내일의 희망 사이에서 죽고 싶다, 살고 싶다, 를 되뇌이는 이경은 비단 50년대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예술이라는 구원이자 절망의 감옥에서 나목의 계절을 견디고 있는 또 다른 옥희도 씨도 나는 알고 있다. 누구와도 공유할 수 없는 근원적 고독은 때때로 스스로를 잠식해가지만 그 끝없는 부침 속에서, 오락가락하는 대결 속에서 <나무와 여인> 같은 불멸의 작품이 탄생하기도 한다. 결국 이들에게 상처를 주는 것은 잔혹한 시대이기 이전에 인간이라는 존재 조건, 그들 자신이고 그래서 이 오래된 소설은 세월을 거슬러 여전히 호소력을 갖는다.       

  작가들은 대개 가장 마지막 작품이 가장 훌륭한 작품이 되기를 바라겠지만 그들의 처녀작, 또는 등단작에는 이후의 작품들 속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는 투명한 맨살, 말랑한 속살 같은 것이 만져지게 마련이고 그것은 이후의 풍성함이나 정교함 보다도 훨씬 더 독자인 나의 마음을 끈다. <나목>도 물론이었고 이 꾸무적대고 느리적대는 가을의 문턱에서 간만에 찡, 하게 다시 읽은 아름다운 고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