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사 인물통찰 - 폄하와 찬사로 뒤바뀐 18인의 두 얼굴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먼저 이 책을 읽기전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은 다양하다는 것을 미리 말하고 싶다. 소위 그들이 말하는 주류사학자도 비주류사학자 아닌 독자 입장에서 이 책을 읽어 내려 간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마음에 든 점은 이 책에서 언급하는 해당 인물의 새로운 측면을 보여줄 수 있는 국내 사료와 함께 필요한 경우에는 중국사나 일본사의 연구성과까지도 소개하여 좀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책은 장수태왕은 중국에 조공하지 않았을까? 강감찬은 ‘단지’ 고려 구국의 명장일까? 이성계는 한민족 출신일까? 정도전은 서민을 위해 개혁정치를 펼쳤을까? 양녕대군은 스스로 동생에게 왕위를 양보했을까? 이황은 관직을 멀리하고 학문에만 전념했을까? 김상헌은 청나라에 끌려가서도 끝까지 소신을 지켰을까? 송시열은 실제로 북벌을 추진했을까? 정조는 한ㆍ중ㆍ일 르네상스 경쟁에서 승리했을까? 김대건은 천주교 신자라는 이유로 처형되었을까? 흥선대원군은 꽉 막힌 강경 쇄국론자일까? 김옥균은 친일파라서 일본과 손잡고 갑신정변을 일으켰을까? 라는 의문점에서 작가가 역사인물 18인의 말과 행적, 활동 당시의 정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인물사 분야에서 왜곡된 측면들을 올바르게 재조명함으로써 역사의 본모습을 새롭게 발견하도록 도와 주는 책이다.
역사를 공부함에 있어 우리들은 수많은 오류의 늪에 빠질 확률이 많다. 그 좋은 예가 바로 드라마인데...... 역사를 진정으로 생각한다면 드라마 속의 허구가 넘치는 역사는 없어져야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 스스로도 드라마속의 허구적 역사를 바르게 인식할만큼의 내공을 쌓아야 된다고 생각된다.
이 책은 기존의 역사책을 많이 읽은 분들에게 많은 부분이 거스릴수 있다. 물론 나도 이 책을 읽어 내려가면서 장수왕부분등은 동조할수 없을만큼 자위적이라는 생각도 잠시했다. 그러나 역사는 흘러갔고 그리고 그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은 다를수가 있는만큼 다른 시각으로 역사를 접근해서 우리들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저자의 노력에 감사를 드리고 싶다.
책의 구성에 있어서 참고사진 부분은 인물을 평가하는 책이므로 그 인물의 초상화 정도는 일관되게 참고로 보여줬으면 하는 바람도 있으며 참고사진이 생각보다는 적재적소의 위치를 잘 찾지 못하고 설명이 약간 부족한 점은 이 책의 아쉬운 점이었다.
그러나, 역사속에는 수많은 인물들이 있다. 이 책에서는 역사 인물 18인에게 덧씌워진 신화를 우리의 사료뿐만 아니라 외국의 사료까지 참고해서 우리들에게 균형잡힌 시각으로 그들을 평가해줄려고 노력하는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17316452845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