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영과 젊은 그들 - 아나키스트가 된 조선 명문가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사회 고위층 인사에게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의무를 말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 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보통 부와 권력, 명성은 사회에 대한 책임과 함께 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이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사회지도층에게 사회에 대한 책임이나 국민의 의무를 모범적으로 실천하는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단어이다.


하지만 현시대에서는 이 말은 사회지도층들이 국민의 의무를 실천하지 않는 문제를 비판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아 가슴 한 구석이 울적해진다.


이 책은 1910년 강제로 한일합방조약이 체결되어 나라를 일제에 빼앗기자 여섯 형제 일가를 모두 이끌고 만주로 가 전 재산은 물론 목숨까지 민족해방을 위해 바친 이회영과 여러 동지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책 속에서는 명문대가 출신인 이회영이 독립운동을 펼치기 위해 중국으로 망명하기까지의 과정과 망명 후 그의 활동은 물론 수많은 독립운동가들과 교류한 모습, 어떻게 아나키즘을 받아들여 아나키스트가 되었는지, 극심한 가난으로 인한 고통을 참고 견뎌내며 독립운동을 벌이다가 최후를 맞이해야 했던 그의 파란만장한 삶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이회영의 아나키스트적 색채보다는 그가 아나키즘을 사상적 바탕으로 어떻게 독립운동을 위한 기초를 다졌으며, 여러 동지들과 독립운동을 전개해나갔는지에 중점을 두고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사실 나에게 있어 이 책은 약간은 어려운 책이었다. 그나마 예전의 역사스페셜이라는 TV프로그램에서 우당에 관한 이야기를 본 것이 있어 이해하기의 속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빨라지는 것이 큰 위안이 되었다.


이회영은 헤이그 밀사파견을 주도하고, 고종의 국외 망명을 추진하고, 또한 백성을 깨우치기 위해 신흥무관학교라는 교육기관을 설치하였다.


독립운동가들의 벗이 되어 사상적 기틀을 제공하였으며 그는 중국으로 망명한 뒤 이회영은 상해와 천진을 오가며 의열단, 다물단, 흑색공포단, 남화한인청년연맹 등을 조직하고 일제의 고관, 군부 수뇌, 친일파 거두, 기관을 공격하는 등 독립운동에 매진했다. 또한 몸소 독립운동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기 위해 만주로 떠나기까지 했다.


역사적인 인물들을 들여다 보면 당파 차원에서, 계급차원에서 집단적 매국에 가담한 지배층이 있었던 반면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온 가족이 온몸을 던진 집단 망명자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이런 집단 망명을 주도한 대표적 인물 중 한 명인 우당 이회영과 여러 동지들에 관한 글이다. 자신의 지위와 재산은 물론 생명까지 모두 신념을 위해 바친 이회영의 생애를 통해 지금 우리의 삶을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