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인 내부의 적 간신 - 중국 간신 19인이 우리 사회에 보내는 역사의 경고
김영수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권력이 있는 곳에는 치명적인 내부의 적 간신이 있기 마련인것은 우리는 이 책의 배경인 비단 중국의 역사에서 뿐만 아니라 사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우리시대에서도 익히 알 수 있다.

 

실제로 우리 역사를 조금만 들추어보아도 간신배가 정치를 흐리고 백성의 삶을 도탄에 빠뜨리는가 하면 나라를 망국으로 이끈 예를 수도 없이 찾을 수 있다.

 

공자의 다섯 가지 간신 유형론은 첫째가 마음을 반대로 먹고 있는 음험한 자이고, 둘째가 말에 사기성이 농후한데 달변인 자이고, 셋째가 행동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고 고집만 센 자이고, 넷째가 뜻은 어리석으면서 지식만 많은 자이고, 다섯째가 비리를 저지르며 혜택만 누리는 자이다.

 

저자는 중국사를 뒤흔든 간신 19명의 간행을 조목조목 조명하면서 간신 현상이 어느 순간 불쑥 튀어나오는 개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역사적 · 사회적 현상임을 누누이 강조하고 있다. 다음편에는 우리나라의 간신들을 다루어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생긴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간신 19인을 대략 보면 권력욕을 위해 자식마저 삶아 권력자에게 바친 춘추시대 제나라의 역아(易牙)를 비롯해 와신상담의 숨겨진 주역이었던 백비(伯?), 진시황의 유서를 조작해 권력을 훔친 조고(趙高) 등은 태곳적 간신의 원형이라 불릴 만하다.


중국사가 진나라라는 짧은 통일기를 거쳐 다시 대분열기로 들어서고 남북조 시대에 이르면서 간신의 형태가 환관 간신과 외척 간신, 무간(武奸) 등으로 분화하는데, 석현(石顯)?양기(梁冀)?동탁(董卓) 등이 대표적이다.


자고로 간신은 간군(奸君)에 기생하기 마련인데, 이런 현상은 측천무후 등극의 일등공신인 이의부(李義府)와 현종에 달라붙어 ‘개원의 치’마저 빛바래게 한 이임보(李林甫), 양귀비 치맛자락을 잡고 궁에 들어와 제국을 기절시킨 양국충(楊國忠) 등 당나라 간신들에게서 볼 수 있다.


또 송나라와 명나라 때로 오면 간신 현상이 제도 속에서 재생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간신 현상이 개인적 차원을 넘어 정치적?사회적 제도로 정착되는 느낌이다.

 

이때의 대표적인 간신으로는 중국사 최악의 매국노로 일컬어지는 진회(秦檜)가 있는데, 중국인이 구국의 영웅으로 떠받드는 악비(岳飛)를 모함하여 해친 인물이다. 우리나라의 원균이라 할 수 있다.

 

이밖에도 외적에 영혼을 판 송나라의 황잠선(黃潛善)은 마치 나라를 일본에 팔아넘긴 이완용을 떠올리게 한다.

 

"천하를 다스리는 일은 군자가 여럿 모여도 모자라지만 망치는 일은 소인 하나면 족하다"<송사><유일지전>중

 

비단 과거를 되돌려 생각할 필요가 없는것 같다. 지금 이 시간 우리의 내부의 간신은 누구일까? 우리의 지도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