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티브 컨플릭트
다비 체키츠 지음, 이무열 옮김 / 세계사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나는 오래전부터 어떤 사람 때문에 심기가 불편하다. 오늘 하루 또 어떻게 그 사람을 참아내야 할지 생각만 해도 머리가 지끈거린다. 그러나 나는 그에게 뭐라고 말해야 할지, 어떻게 그 상황을 다루어야 할지 도통 모르겠다. 분명한 것은 이제 나는 불평을 하거나 회피하거나 괜찮은 척하는 데, 혹은 소리를 지르며 싸우는 데 지쳤다는 사실이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나는 정말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말할 수 없다는 사실에도 지쳐버렸다.

 

또, 다르게 대립을 해라고 생각하니 데모나 국회에서 여야가 대립하는 것이 먼저 떠 오른다. 그들도 적극적으로 대립하는데...... 그런데 왜 안 정치 불신만 쌓이는 것일까?

 

대립 [對立] 의견이나 처지, 속성 따위가 서로 반대되거나 모순됨. 또는 그런 관계를 말하는데 대립이라는 단어는 실상 우리가 항상 골치를 앓으면서 어찌보면 안고 살아가는 것 같다.

 

『포지티브 컨플릭트』이 책의 저자는 흥미롭게도 오직 대립만이 진정한 변화를 만들어 낸다고 말한다. 인간과 사회와 문화의 원초적인 차이에서 나오는 대립과 갈등이야말로 혁신의 원천이라는 것이다. 그는 상반된 것 속에 들어 있는 에너지를 잘 조화시켜 긍정적으로 활용할 경우 상상을 초월하는 힘을 얻을 수 있다며 대립과 갈등을 성공의 기회로 삼으라고 권유하고 있다.

 

이 책을 읽다가 문득 한 외국계 회사에 면접을 볼 때가 생각난다. 서류전형-필기시험-단체면접-단체실기-개별면접-영어면접등으로 복잡하게 이루어진 이 외국회사의 면접은 통채로 외국계컨설팅 회사에서 주관해서 봤는데 단체실기라는 개념의 면접에서 볼트와 널트를 놔두고 5명이 한 팀이 되어서 조립을 하고 한 다음 팀원끼리 이야기 할 시간을 주고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볼트와 널트를 조립하는지 지켜보는 것이었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팀원끼리의 적극적인 대립으로 긍정적으로 활용하여 상상을 초월하는 협동심으로 효율적인 일처리를 이끌어내는 면접이었던것 같다.

 

이 책에서 말하는 낙관론은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낫다는 철학을 받아들이면 우리의 창조력을 키우고 대립과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문제 해결을 위해 조언을 구할 때 해법의 ‘무한한 가능성을’발견하게 된다. 만약 당신이 어떤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면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하라. 그러면 당신이 혼자 생각해낸 것보다 더 많은 해결책을 얻게 될 것이다.

 

대립과 갈등을 혁신으로 이끄는 의사소통은 다음과 같다. 나와 내 아내는 10대가 된 아이들에게는 일찍부터, 정확히 만 열두 살이 되는 날부터 ‘예스/예스’의 원리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부모가 요구하는 것에 ‘예스’를 많이 할수록 자신이 원하는 것에 우리가 ‘예스’를 더 많이 한다는 것을 배웠다. 이것은 정말 좋은 양육방법이었다.

 

『포지티브 컨플릭트』는 조직을 이끄는 리더뿐만 아니라 팀워크가 중요한 모든 직장인들을 위한 책이기도 하다. 대립과 갈등은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는 것이다. 이것을 빨리 무마하거나 회피하려는 시도는 그 속에 숨겨진 더 큰 가능성을 보지 못하고 훌륭한 기회를 놓쳐버리게 된다.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직장과 조직, 가정에서 온갖 대립과 갈등으로 골치를 앓는 이들, 특히 성격과 의식, 견해가 판이한 사람들의 능력을 한데 모아 통합 에너지를 끌어내는데 놀라운 효과를 얻게 될 것이라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