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 살고 잘 죽는 법 - 선물같은 오늘을 더 행복하게 사는 지혜
이지현 지음 / 책이있는풍경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어떻게 하면 멋있게 죽을 수 있을까? 살다가 이런 고민을 해 본 적이 있었다. 영화속 주인공처럼 말 그대로 영화처럼 멋있고 우아하고 장엄하게 죽음을 맞이할것인가? 아니면 한치앞도 내다보지 못한다는 말이 있듯이 그야말고 원사,민사,괴사,쇠사란 말처럼 허무하게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
사실 사람에게 있어 마지막을 잘 정리하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가? 어느 TV프로그램에서 죽음과 관련되어 체험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참가자들은 미리 유언장을 작성하고 그리고 관속에도 들어가 죽음이란 무엇인가 미리 경험(?)을 하는 프로였는데 사람들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후 보다 자신의 삶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고 한다.
죽음은 예고 없이 우리의 문을 노크하기 때무에 언제 찾아올지는 아무도 모른는 것이 대부분이다. 죽음은 삶의 방식에 의해 결정된다. 가장 행복한 사람은 죽을 때 행복하게 죽는 사람이라고 말도 있듯이 아름다운 죽음을 맞이하려면 먼저 삶을 아름답게 영위해야 한다.
유언장을 쓰면 자신을 되돌아보게 디고 따라서 그 순간부터 사람의 생활이 달라질수 있다. 생전에 미리 유언장을 쓰면 합리적인 사고를 하게 된다. 유언장을 쓰는 것은 인생의 '마지막 과정'이 아니라 '중간 점검' 으로 앞만 보고 다리는 현재의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는 거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유언장을 쓰는 순간부터 그 사람의 생활이 달라진다. 생활이 달라지면 그 사람의 운명 또한 달라진다. 매 순간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면서 유언장을 쓰는 마음으로 산다면 우리의 삶은 좀 더 가치 있게 변할 것이다.
삶과 죽음은 상호 의존적이다. 죽음은 삶의 표면 밑에서 끊임없이 휘젖고 있으며 경험과 행동에 막강한 영향을 미친다. 이 처럼 생물학적인 삶과 죽음의 한계는 비교적 명료하다. 그러나 심리적으로 삶과 죽음은 서로 합해 있다. 죽음은 삶의 한 부분인 것이다.
사실 이 책 <잘 살고 잘 죽는 방법>은 그리 탐탁하게 여겨지지 않을수도 있는 책이다. 나에게 있어 이 책은 내 나이 이제 30이조금 지나 살 날도 많은데 벌써 죽음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는 책을 읽는다는 것이 사실 기분이 달갑지 않았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 죽음의 순간, 생명에 대해 경의를 표하며 왕같이 떠날 수 있도록, 죽음에 대해 예의를 갖추고 맞이한다면 그 과정은 참으로 인간답고 정직하고 아름다운 삶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삶의 의무를 다 끝낸 겸허한 마침표 하나가 네모난 상자에 누워 천천히 땅 밑으로 내려가네
-이해인-
저는 거리에서 짐승처럼 살았습니다. 이젠 보살핌을 받으며 숨을 거두고 싶습니다.
-마더 테레사-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다고 말하리라
-천상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