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버블경제의 붕괴가 시작됐다
마쓰후지 타미스케 지음, 이연숙 옮김 / 원앤원북스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세계 버블경제의 붕괴가 시작됐다』 이 책을 읽기에 앞서 나두 주식투자를 한지 10년이라는 세월이 흐른것 같다. 지금은 온라인으로 주식을 비교적 자유롭게 거래를 할 수 있지만 내가 주식에 입문할때만해도 증권지점에서 직접 주문을 내고 했던 기억이 나곤 한다. 내가 처음 싼 주식은 아마도 조흥은행이었는데 지금은 신한은행으로 흡수합병이 된 것으로 알고 있다. 주식시장에 있어 그 기업이 살아남기란 결코 쉬운건만은 아니라는 것을 나는 나의 투자만으로도 크게 느끼고 있다.

 

세계 경제는 미국을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요즘은 유로화도 결제수단으로 쓰이곤 하지만 그래도 세계적으로 기축통화는 US달러라 말할수 있다. 뉴스를 보다보면 외환보유고가 얼마니 하는 것도 다 달러를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는 말이다.

 

『세계 버블경제의 붕괴가 시작됐다』 이 책의 저자는 일본인이며 그리고 일본경제와 미국경제를 잘 설명해주고 있어서 우리에게는 더욱 좋은 경제서가 될 것 같다. 왜냐하면 거품경제를 이미 겪어본 일본인이 세계경제는 거품 상태인가?라는 화두로 이 책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경험자의 눈은 매섭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저자는 세계경제 거품에 대한 강력한 증거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제시한다. 저금리 현상으로 치솟던 부동산가격이 서브프라임 사태로 크게 하락하기 시작했고, 이는 곧 금융회사들의 부실로 이어져 결국 주식시장이 대폭락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이 주장은 사실로 증명되었다. 뉴스를 본 사람이라면 다 이해할 것이다.

 

나는 이 책에서 저자의 주장중 이 부분만을 인정하고 싶다. 주식을 처분하고 금에 투자하는 말에는 입장이 다르다. 나는 이 책의 저자 주장보다는 차라리 석유에 투자하라고 말하고 싶고 또한 펀드를 즉시 해지하라고 하고 싶다. 금도 좋은 투자처임은 확실하지만 경제적 상황 + 국제정세나 국제정치를 본다면 석유(油)의 가치가 폭등할 가치가 높으면 또한 식량등의 가격이 폭등할 여지가 더욱 많다고 본다.

 

펀드를 해지하라고 말하고 싶은 이유는 미래에셋이라는 거대 펀드사가 보유한 주식의 보유 비중이 일정기업에 너무 많은점이 환매나 투매에 있어 유동성에 큰 위험도가 있으며 미래에셋은 부동산과 중국이나 소위 경제상황이 불안정한 브릭스에 투자 비중이 높은 것이 위험도가 크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저자의 주장중에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다우지수가 폭락한다! 라는 대목을 반론하는 이유는 FRB가 금리를 미국이나 세계 경제의 상화에 맞추어서 금리를 조금씩 내리고 있기 때문에 금리가 내리면 다우지수가 폭락한다는 주장은 너무 앞서간다고 생각된다.

 

나는 미국의 대선, 중국의 2008년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OPEC의 산유량 조절, 세계적인 지역분쟁등이 세계 경제가 큰 영향을 미칠것 같다.

 

경제지식,금융지식이 미래의 부를 결정한다. 『세계 버블경제의 붕괴가 시작됐다』이 책을 맹목적인 수용보다는 버블경제의 붕괴에 대비하는 하나의 참고서로 읽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